휠체어 이용·65세 이상 거동불편 수요자 폭증하는데
평일 1일 2회 등 이용횟수 제한… 주말엔 편도만 가능
위탁운영으로 서비스도 엉망… 市 “증차 등 대책 추진”
남양주시가 장애인 이동 편의를 위해 운영 중인 ‘희망콜’ 택시사업이 이용 횟수와 목적 등을 한정해 오히려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제한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22일 남양주시와 장애인 단체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5년 7월 장애인 등이 이용할 수 있는 특별교통수단의 일환으로 ‘희망콜’을 개소해 운영 중이다. 당초 4대로 시작된 남양주 희망콜 택시는 지난해 14대 증차 등 연도별 증차 과정을 거쳐 현재 34대를 보유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가 시행 중인 희망콜 서비스는 평일(월~금) 1일 2회, 주말(토,일) 1일 1회로 이용횟수를 제한하고, 시외로 나갈 때는 2일 전 사전 예약을 통해 병원만 갈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즉 평일 외출시엔 1차례 왕복만, 주말엔 편도만 이용가능한 것이다.
또 도시공사나 시설공단에 장애인 콜택시 운영을 맡기는 타 지자체와 달리 민간단체인 희망케어센터에 위탁ㆍ운영하면서, 시간 지체 등 서비스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게다가 희망콜은 현재 법정대수 기준(1ㆍ2급 장애인 200명당 1대ㆍ남양주 5천950명, 29대)을 초과 달성한 상태지만 ▲장애인 통학 학생(초중고) ▲3~6급 중 휠체어 이용자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65세 이상 등 수요가 넘치면서 장애인들의 희망콜 이용이 어려운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장애인 A씨는 “주말에 희망콜을 이용해 교회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현장 통보를 받고 날벼락을 맞은 기분이었다”며 “시외로 나갈 땐 병원 방문만 허용하는데 장애인은 사생활도 없는 것이냐. 시가 오히려 장애인ㆍ비장애인 간 차별을 조장하고 있다”고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지역내 한 장애인단체 대표 B씨 역시 “희망콜은 타 시군과 달리 민간단체가 운영하면서 시간 지체 문제 등 서비스 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이라며 “최근 관련 민원이 폭주하는데 남양주시가 희망콜 사업을 ‘복지’가 아닌 ‘권리’의 시각으로 보고 지속적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소수가 이용을 선점하며 사유화하는 경우가 있어 부득이하게 이용에 제한을 뒀다”며 “현재 지속적인 증차와 벤치마킹을 통한 합리적 방안의 조직운영 체계로 바꿔가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남양주=김성훈ㆍ하지은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