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주거계획수립 연구용역 완료
혼자사는 노인 가구 비율 급증
자가비율 낮고 전세보다 월세↑
주차장·소방도로 확보 과제도
부천시의 인구밀도가 전국 평균의 30배에 달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부천시 주택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 6월 통계청의 승인을 받아 주거취약계층 포함 1만26가구를 대상으로 1개월간 주거실태와 주거비 부담 수준 등을 조사하는 주거 실태조사를 실시, 주거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용역 결과, 시의 인구밀도는 1만6천370명/㎢로 전국 509명/㎢의 30배에 이르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가구의 23.3%는 1인 가구로 전국의 1인가구 평균(27.2%)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노인 1인가구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주택점유형태 중 자가비율은 전국의 자가 비율(약 56.8%)보다 다소 낮은 53.5%인 반면 월세 비율(23.7%)이 전세 비율(21%)보다 높았다. 월세가구 대부분이 청년가구와 저소득층이 차지하고 있어 해당 계층의 주거비 부담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손꼽혔다.
가장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은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39%로 가장 높고 주택구입자금 대출(29.7%), 전세자금 대출(26.6%), 주거급여(26.2%), 에너지 바우처(25.2%) 순으로 나왔다.
특히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소요가 높았으며 가구소득 200만 원 미만에서는 이자 등의 부담금이 발생하는 대출보다는 공공임대주택, 주거급여, 에너지 바우처 지원과 같은 직접지원에 대한 소요가 큰 것으로 나왔다.
또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시가 가장 해결해야할 과제와 공공시설로 주차장 및 소방도로 확보가 주요했으며, 가로등ㆍCCTV, 보건 및 체육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합병원ㆍ응급의료시설, 보건의료시설ㆍ노인복지관, 도시공원ㆍ공공도서관 등은 국가적 최저기준보다 높은 접근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주거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정책방향과 향후 추진과제로 양질의 1, 2인용 가구주택 공급을 위한 ‘부천형 최저주거기준 설정(17㎡)으로 고시원(최소면적기준 8㎡)ㆍ여인숙ㆍ쪽방 등 비주거 용도에 대한 제도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정책적으로 운용할 예정이다.
또 노후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집수리 지원과 마을관리소 설치 운영, 청년?노인?여성 가구주 등 시민들이 꼭 필요로 하는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부천=오세광기자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