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요쳥에도 청소업체 ㈜경기교육 노동자 ‘경기교육 퇴출’ 구호 현장 지나는 시민들 도교육청-청소노동자 갈등으로 오인
환경미화 업체 ㈜경기교육 소속 청소 노동자들이 ‘경기교육 퇴출’ 구호를 내걸고 집회를 전개, 경기도교육청이 애먼 피해(경기일보 4일자 6면 등)를 보는 가운데, 노동자 측이 도교육청이 위치한 광교중앙역 인근에서 동일 문구로 시위를 벌이며 도교육청 오인 우려가 확산했다.
집회 전 도교육청이 경찰을 통해 현수막 등에 ‘㈜’를 붙이는 등 문구 변경을 요청했지만, 일부 현수막에 여전히 ‘경기교육 퇴출’이 기재, 청소 노동자와 도교육청 간 갈등으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프레스센터 분회 소속 근로자 10여명은 이날 오후 6시부터 광교중앙역 2번 출구 인근에서 근로조건 승계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들은 “단체협약을 이행하지 않는 경기교육을 규탄한다“며 생활임금 보장 등을 주장했다.
문제는 이들 주변으로 걸린 플래카드 속 문구다. 플래카드에는 “청소노동자 임금삭감 경기교육 퇴출하라”는 문구가 포함됐는데, ‘경기교육’이 도교육청을 연상케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집회가 도교육청 인근에서 진행되면서 시민들의 오해가 커지고 있다.
현장을 지나던 한 시민은 “플래카드만 봤을 때는 경기도교육청이 청소노동자들의 근로조건을 낮게 한 것인 줄 알았다”고 말했고, 또 다른 시민도 “경기교육이 어떤 업체인지 모르겠지만 왜 도교육청, 아파트 단지에서 집회를 여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도교육청은 딱히 대응할 카드가 없다는 입장이다. ‘경기교육’이라는 상호명 사용 금지를 청구할 수도 없고, 집회로 인한 도교육청의 물리적, 경제적 피해도 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집회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도 “주민 혼선과 오인 피해가 우려되지만 민간 업체에게 상호명을 바꾸라고 강제할 수도 없고, 모욕 등 직접적 피해도 없어 명예훼손 등 법적 조치도 어려워 보이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노조 측 관계자는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교육’이 적힌 피켓을 제외하고 나머지 피켓으로 집회를 진행했다”며 “업체명이 ‘경기교육’이다 보니 플래카드는 어쩔 수 없지만 집회 발언 등에서 청소 업체란 점을 설명하는 등 오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