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문화인] 사진 작가 김경수 “마리오네트는 오늘날 우리의 모습”
문화 문화인

[문화인] 사진 작가 김경수 “마리오네트는 오늘날 우리의 모습”

자유롭지 않은 현대인 보여주고파
누군가에 의한 ‘꼭두각시 삶’ 표현
내달 수원 모닝하우스서 작품 전시

▲
‘마리오네트(Marionette)’는 실로 매달아 조작하는 인형극이다. 각 관절 마다 연결된 실을 조정하면 가만히 누워있던 인형이 벌떡 벌떡 일어나 움직인다.

 

김경수 작가는 이런 마리오네트 인형을 사진 속에 담고 있다. 사진 속 인형은 관객을 바라보기도 하고, 또 다른 세계를 응시하기도 한다. 기괴하게 변형돼 불안과 공포를 자아내기도 하고, 때로는 동정과 연민의 감정을 일으키기도 한다. 마치 혼자 살아 움직이는 것 같지만, 모두 작가의 조정해 의해 움직인 것이다. 

그는 “원하는 모습으로 인형을 조정한 뒤 정교한 조명과 함께 사진을 찍는다”면서 “모든 것은 내가 직접 연출한 무대에서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작가가 주목한 것은 바로 마리오네트의 속성이다. 작품 속 인형을 통해 누군가의 조정에 의해 움직이는 현대인의 초상이자 작가 자신의 자화상을 표현한 것. 그는 “사지를 묶어 무대 위에서만 움직이게 하듯, 우리 삶의 무대도 보이지 않는 역학구조 속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주고 싶었다”면서 “마리오네트 인형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작가는 인형에 연결된 실을 보여줌으로써, 이를 끊어버리면 자유로워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는 “우리는 인간이기에 자의적으로 실을 끊어 낼 수 있다”면서 “실을 끊으면 조명은 꺼질 것이고 무대 또한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가의 작품은 다음달 3~8일 수원 굿모닝하우스 내 누구나갤러리에서 열리는 展에서 볼 수 있다.

 

한편, 작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를 졸업하고,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근무했다. 이후 (주)카이로제닉스와 (주)셀트리온화학연구소 대표이사로 활약하며 ‘21세기의 뛰어난 과학자 2000인’ ‘21세기의 가장 위대한 지성’ 등 세계 인명사전에 20여 차례 등재됐다. 은퇴한 뒤로는 사진 작가로 다양한 작품을 활동을 하고 있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