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1년 재난안전 상황관리 고도화 전략 수립 전망

인천시가 오는 2021년까지 재난안전 상황관리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한다.

올해 정보통신기술(ICT)기반의 재난안전상황실을 구축·본격 가동한 시는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정보 수집·전파로 초동대응태세를 확립하겠다는 구상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5억1천9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재난안전 상황관리 고도화를 위한 중장기 정보화 전략계획(ISP) 용역을 추진한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재난안전 상황관리 고도화를 위한 환경을 분석하고 중장기 및 단계적 방안을 수립할 방침이다. 또 10개 군·구와 경제자유구역청, 소방본부, 교통운영센터 등 산하·관계기관 간 협업을 통한 통합적 재난상황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재난안전 정보연계를 확장하는 등 재난안전상황실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도출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용역 결과에 따라 재난안전 상황시스템 구축되면 오는 2022년부터는 재난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지역 곳곳의 폐쇄회로(CC)TV 영상이 올라오는 관제시스템이 재난상황을 파악하면 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재난안전대책본부가 꾸려진다.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재난영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해 안전행정부 등 정부기관을 비롯해 해당 군·구, 소방본부, 군부대, 경찰 등과의 실시간 대책회의를 연다. 모바일 현장 대응 시스템을 이용한 담당자가 재난이 발생 현장에서 투입돼 재난안전대책본부가 더욱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돕는다.

시 관계자는 “재난안전 상황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면 인천 지역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인지해 대응방향을 결정, 시민에게 전파할 수 있게 될 것”며 “중장기 ISP용역을 통해 인천 지역 재난안전 상황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4월 재난안전상황실을 구축하고 올해 안으로 대시민 재난상황 자동전파 시스템을 마무리해 한 번에 다양한 정보매체를 이용, 시민에게 실시간으로 재난 상황을 전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다양한 정보매체는 지역방송, ARS, 홈페이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교통정보안내기, 전광판 등이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