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인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영흥석탄화력발전소의 조기폐쇄와 수도권 내에 위치한 농어촌지역인 강화·옹진군의 역차별 문제 등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노력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11일 경기일보 주최, 새얼문화재단 주관으로 열린 ‘제20대 대선 후보 초청 새얼아침대화’와 관련한 서면질의·답변을 통해 영흥화력의 조기 폐쇄에 대해 “적극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인천 온실가스 배출량의 49%는 영흥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시는 정부의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4년 폐쇄할 예정인 영흥화력 1·2호기를 2030년에 조기 폐쇄해줄 것을 요구하는 상태다. 시는 영흥화력 발전기 조기 폐쇄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그린수소 발전소 등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수립 중이다.
이 후보는 “인천 내 LNG 발전소 발전량을 높이고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면 영흥화력의 조기 폐쇄도 가능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석탄발전은 온실가스 배출과 더불어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 피해도 있는 만큼 인천시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대안을 수립하고 조기 전환하는 것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이 후보는 농어촌지역인 강화·옹진군이 수도권에 묶여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규제를 받는 역차별 문제에 대해 “일부 지역이 국가 안보, 문화재보호, 수도권 규제 등 다중규제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검토할 계획”이라고 했다. 수도권정비계획법은 수도권에 집중한 인구·산업의 적정배치를 유도하기 위한 규제를 받는다. 이에 농어촌지역인 강화·옹진군은 인구감소지역이지만 수도권으로 묶여 역차별을 받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