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기원 김성훈 교수, ‘암세포의 3차원 배양기술을 이용한 유효 약물 검색법’ 개발

국내 연구팀이 실제 암 환자의 세포를 활용해 암 치료 개발에 도움을 주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박태현ㆍ이하 융기원)김성훈 교수 연구팀(바이오융합연구소장ㆍ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장)은 삼성서울병원 난치암연구사업단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황대희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암세포의 3차원 배양기술을 이용한 유효 약물 검색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암 분야 최고 국제학술지인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에 지난해 12월 16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암 치료제의 낮은 효과와 재발을 막고자 다양한 암을 단순 분류하고 나서 적절한 유효 약물을 신속하게 찾아내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우선 유전적 배경과 종류가 다른 100가지 암세포들을 3차원으로 배양한 결과, 암세포들이 그 모양에 따라 4가지 유형(구형, 집단형, 포도형, 비형성형)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각 유형의 암들은 기존의 항암제에 대해 매우 다른 감수성을 갖고 있다는 점도 밝혀냈다.

특히 암세포 중 3차원적 모형에서 구형(round type)을 이루는 암들은 많은 항암제에 대해 내성을 보여 약물의 투과력을 높일 수 있는 치료 병행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자동화된 최첨단 3차원 세포 약물 검색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앞으로 시스템 자체 상용화뿐만 아니라 제약회사와 연구기관에 이 기술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김성훈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치료법은 암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라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암 치료제 개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