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문화의전당, 10일 토론회 열어
공공 문화예술기관들에 대한 평가 방식을 ‘경영실적 평가’에서 ‘운영 평가’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 경기도가 폐지 대상 공공기관으로 지목한 경기도문화의전당은 지난 10일 오전 대극장에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회장 이용관)와 공동주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용관 회장의 사회로 추미경 문화다움 대표와 김기봉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상임이사가 주제 발표에 나섰다. 이들은 도의 전당 폐지 방침을 세운 연구용역의 비합리적인 방식을 비판, 새로운 평가 방식 도입을 비롯한 전당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이날 김기봉 상임이사는 문화예술기관에 적합한 평가 방식 도입 등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김 이사는 “성과관리평가의 중요한 핵심 지표 중 하나가 수익성에 관한 것인데 문화예술기관의 설립 및 운영 목적에 합당치 않다”면서 “사회적 약자의 문화예술 향수 지표와 같은 공공성 강화와 운영의 합리성 증대, 서비스의 질 향상, 주민 만족도와 요구도 실현 등을 반영하는 ‘운영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문화적 가치의 사회적 확산을 국가와 자치단체의 중요한 책무로 규정한 ‘문화기본법 제5조’를 토대로 문화와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국가사업이나 지역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피는 ‘문화영향평가제’를 제안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소통 단위 구성 ▲민간 전문가와 행정그룹이 공감 합의한 평가 지표 수립 ▲관계자와 주민이 참여하는 공청회 등 폭넓은 의견 수렴 ▲각 주체들의 주장을 반영한 최종 보고서 작성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행정 계획 수립 등이다.
추미경 다음 대표 역시 “주민과의 지난한 논의와 소통을 거치지 않고 지역문화자원을 단편적 경영적 논리로 재단함으로써 문화분권과 문화자치의 근본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었다“며 “도는 시대흐름에 부합하는 전향적 방안으로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당 통합노조는 앞서 지난 3일 토론회 ‘긴급진단- 문화예술 전문가 100분 토론_문화융성 없는 경기도, 이대로 좋은가?’를 주최, 경기도립예술단과 전당의 상생 모델을 논의한 바 있다.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