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는 지난해 6월부터 입석이 금지됐다. 승객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도입한 입석 금지로 요금은 400원이나 올랐다. 여기에 모든 승객이 앉아서 출퇴근할 수 있도록 광역버스 운행대수를 늘리다 보니 지자체에서 버스회사에 손실보전금을 주거나 전세버스 지원금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수원시도 수원~사당 노선을 보유한 경진여객운수(주)와, 수원~강남 노선을 운행하는 용남고속(주)에 한 해 10억원 넘는 전세버스 지원금을 보조해주고 있다. 그런데 경진여객은 회사가 보유한 광역버스 차량과 운행 횟수를 줄이고 대신 회사 경영진이 대표로 있는 업체의 전세버스를 대거 투입해 지원금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는 전세버스 편도 1회당 경진여객 9만8천원, 용남고속 11만2천원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경진여객이 운영하는 광역버스의 법정 인가 대수는 5개 노선 89대, 용남고속은 12개 노선 161대다. 그런데 상반기 지원금이 1억원대에 불과한 용남고속에 비해 경진여객은 3배나 많은 지원금을 받았다.
지난 1월 전세버스 회사를 인수한 대표는 3월에 경진여객을 인수했다. 이후 경진여객이 보유한 광역버스 10여 대를 매각하고 운행횟수를 줄이는 대신 전세버스를 집중 투입했다. 실제 경진여객 전세버스 지원이 시작된 지난 3월 108회에 그쳤던 전세버스 투입은 3개월이 지난 6월 1천830회로 급증했다. 이 회사는 상반기에만 4천68회에 달하는 전세버스를 운행해 3억9천만원의 지원금을 챙겼다. 하반기에는 월평균 2천회(노조 추산)로 전세버스를 늘려 1년간 10억원이 넘는 시 지원금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퇴근 시간 혼잡 개선을 위한 전세버스 투입이 대표가 같은 특정 전세버스회사의 수익창출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 광역버스를 감차·감회하고 전세버스 운행을 늘리는 것은 누가 봐도 지원금을 챙기려는 꼼수로 보인다.
현재 광역버스 입석금지는 잘 지켜지지 않아 출퇴근 시간대 버스는 콩나물시루처럼 혼잡하다. 전세버스 지원금 투입 취지가 무색하다.
더구나 이 회사는 전세버스에 치중하느라 차량 정비도 광역버스는 뒷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진여객 차고지 정비시설에선 광역버스 정비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회사 경영진이 운영하는 전세버스 정비에만 신경을 썼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회사 노조는 “사고 위험을 안고 불안한 운전”을 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관할 지자체로부터 개선명령 또는 과징금, 영업정지의 처분을 받을 수 있다.
수원시는 경진여객이 시민 안전과 편의는 외면한 채 전세버스 지원금만 챙기고 있는 건 아닌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여러 문제들이 불거져 나오는데 묵인하는 건 특혜나 마찬가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