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누액 자주 넣는게 좋고 손 씻어도 눈 비비지 말아야
방치 땐 각막혼탁·궤양 불러
그 온기가 반갑지만, 함께 찾아온 꽃가루와 황사 바람 등 불청객을 잘 피해야 한다. 겨울철에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눈이 가렵거나 충혈되기 십상이다. 봄철 눈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과 예방법을 알아본다.
봄철에 주의해야 하는 대표적인 안질환으로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있다. 종류로는 고초열결막염, 봄철각결막염, 거대유두결막염 등이 있다. 꽃가루, 황사, 풀 등이 대표적인 원인물질이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눈에 접촉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 히스타민과 같은 여러 염증유발물질이 분비돼 결막의 염증을 일으킨다.
증상은 눈시림, 눈꺼플의 가려움, 결막의 충혈, 눈의 전반적인 통증,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이다. 눈 속 결막이 크게 부풀어 오르거나, 끈적하고 투명한 분비물이 나오기도 한다.
이중 고초열결막염은 꽃가루, 풀, 동물 털 등에 의해 반응이 생기는 결막염으로 주로 봄과 가을에 많이 나타난다. 몸의 면역이상과 관련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은 질환으로 증상이 매우 심해 치료 기간이 길어지기 쉽다.
거대유두 결막염은 약물반응과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질병으로 눈꺼풀 안쪽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최근 콘택트렌즈가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눈꺼풀의 결막이 자갈밭처럼 울퉁불퉁 해지면서 가렵고 분비물이 많아진다. 이 때 렌즈착용을 일단 중단하고 스테로이드 국소점안으로 증상을 완화시켜야 한다. 가급적이면 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제일 좋은 예방법은 자주 손을 씻는 것이다. 외출 후 오염된 손으로 눈을 만지게 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또 손을 씻었다 해도 눈을 비비는 행동은 좋지 않다. 꽃가루나 황사가 많은 시기에는 가급적 외출을 피하는 것이 좋으나 어쩔 수 없이 외출을 하는 경우 인공누액을 눈에 자주 넣어주는 것이 좋다.
만약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걸렸다면 안과 전문의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방치했을 시에는 각막혼탁이나 궤양으로 발전해 시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는 증상 완화 및 부작용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항원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회피요법과 약물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약물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 비만세포안정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등을 사용한다.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충혈, 부종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비만세포안정제는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비만세포의 막을 안정화시킨다. 스테로이드 점안제는 심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치료에 쓰이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안압상승, 백내장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료 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류설아기자
도움말 : 수원이안과 이주현 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