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 국회_협치 첫 시험대] 3. 국민의당

대선 참패 후유증 극복… 與와 관계설정 ‘강약조절’ 관건

대선 패배 이후 갈피를 잡지 못했던 국민의당이 25일 호남 4선인 박주선 국회 부의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임, 6월 임시국회에 임한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이 박 부의장을 필두로 결속을 다져 여소야대 국면에서 제3당의 지위를 활용해 집권 여당의 협치 파트너로 우뚝 설 수 있을지, 40석의 ‘호남 정당’에 머물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국민의당이 더불어민주당 혹은 바른정당과의 통합론을 놓고 내부 갈등을 겪은 가운데 6월 임시국회에서 민주당과의 관계에 있어 얼마나 효과적으로 ‘강약 조절’을 해낼 수 있을 지가 관전포인트다.

■대선 참패 후유증 ‘통합론’

‘5·9 장미 대선’에서 한때 ‘문재인-안철수 양강구도’를 형성했던 국민의당은 자유한국당에 뒤지며 3위를 기록, 위기에 빠졌다. 국민의당은 김동철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하며 반전을 노렸지만 바른정당과의 통합론이 나오면서 오히려 내홍이 심화했다.

 

특히 국민의당 동교동계 원로들은 지난 19일 오찬 모임에서 바른정당과의 통합론에 대해 탈당까지 언급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갈등을 겪었다. 일부는 호남 민심을 끌어안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민주당과의 연정 또는 통합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지난 24일 여의도에서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열고 “민주당 및 바른정당과의 통합론에 둘 다 반대”라며 “이대로 다당제로 가는 게 맞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지원 전 대표도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동교동계 원로들이 민주당과의 통합 가능성을 거론한 데 대해 “바른정당과 통합을 강하게 반대하면서 ‘차라리 통합한다면 민주당과 하자’고 한 거지, 민주당과 통합을 한다는 건 결코 아니다”고 설명했다.

■전략적인 협치 스탠스 중요

국민의당의 향후 진로가 주목되는 가운데 특히 집권 여당인 민주당과의 관계 설정에 있어 협치에 나설지, 각을 세울지에 관심이 쏠린다.

 

공격에 나설 경우 대선 패배 이후 흐트러진 당 내부를 결속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의 심장부인 호남이 대선 당시 민주당을 지지한 데다 문재인 정부가 호남 출신 인사들을 중용한 상황에서 자칫 국정운영에 발목을 잡는 모습으로 비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

 

하지만 민주당에 무조건적인 협력을 할 경우 야당으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지 못할 수 있고, 자칫 ‘더불어민주당 2중대’라는 오명을 쓸 수 있는 상황이다. 이 경우 비대위 체제 출범에도 불구하고 대선 패배의 후유증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은 “문재인 정부에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비판할 것은 비판하겠다”면서 대여 관계에서 ‘밀고 당기기’에 나섰다. 실제 국민의당은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해 인사청문회에 나선 이태규·김광수 의원 등은 날카롭게, 김동철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온건하게 대응하는 투트랙 전략을 펴는 모습을 보였다.

■경기도 내 의원 활약 주목

3선의 이찬열 의원(수원갑)은 지난해 10월 대표 발의한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을 이번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각오다. 개정안은 택시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일부 차종과 장애인·국가유공자 등 일부 사용자에게만 허용된 LPG 연료 사용 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내수석부대표를 맡고 있는 이언주 의원(재선·광명을)은 외교·안보, 민생 경제, 사회개혁 등 세 가지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여야정 국정 상설 협의체의 실무협의를 맡은 그는 “여야 간 협의 과정에서 조율이 잘되지 않을 때 국민의당이 중재안도 많이 내겠다”며 캐스팅보트 역할을 자처했다.

 

아울러 그는 재벌개혁과 방송개혁, 규제프리존법 등을 언급하며 “독소조항 등을 잘 제거하고 여야 간 조율을 통해 타협안을 만들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