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테마파크 사업 또 ‘빨간불’

부영, 시행 인가 마감 30일 임박했는데 환경영향평가 보완서류 아직 제출 안 해
市 “6월 새 인가 가능… 사업 무산 아냐”

인천시가 3차례나 사업기간을 연장해 줘 시민사회로부터 특혜 비판이 쏟아지는 부영그룹의 송도 테마파크 사업이 좌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시가 사업기간을 연장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시는 사업 부지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는 부영이 환경영향평가를 마무리한 뒤 새롭게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할 수 있기에 테마파크 사업 자체가 무산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부영이 추진하는 송도테마파크 사업에 대한 사업기간 연장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오는 30일까지 테마파크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야 사업추진이 가능한데, 한강유역환경청이 지난 13일 ‘토양오염 정밀조사 결과 정화대책 부재’로 ‘환경영향평가 검토가 불가’하다며 평가서를 반려했기 때문이다.

 

앞서 부영은 실시계획인가 만료 시점이 다가오자 토양오염정밀조사를 마무리하지 못한 채 지난달 28일 시에 환경영향평가 본안을 제출, 시는 이 자료를 한강유역환경청에 제출하고 협의를 요청했다. 

한강유역환경청은 토양오염 정밀조사 결과와 정화대책이 없어 타당성을 검토할 수 없다며 시에 환경영향평가 본안을 돌려보냈다. 이에 시는 부영측에 보완요구를 했지만, 현재까지 보완조치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부영이 테마파크 놀이시설에 대한 설계도서를 아직까지 제출하지 않은 점도 연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애초 부영이 송도테마파크에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놀이기구는 슈퍼자이로타워(세계 최고 150m), 자이로드롭 2종, 스카이펀, 롤러코스터 2종, 자이로스윙 등 총 12종이다.

국토계획법상 실시설계 인가를 위해서는 관련 설계도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데 부영은 테마파크 부대시설인 호텔, 상업시설 등에 대해서만 서류를 제출하고 정작 놀이기구에 대한 설계도서는 계약기간 등을 핑계로 제출하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유정복 시장은 부영 송도테마파크 조성사업을 취소하라”며 “더 이상의 연장은 어떠한 명분도 없다. 부영에게 끌려다니지 말고 원칙대로 처리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실패한 송도테마파크 사업을 취소시키고 원점에서 재검토해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옳은 길”이라며 “만약 또다시 특혜연장을 시도한다면 정경유착으로 몰락한 박근혜 정권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시는 연장은 어렵지만, 이를 해주지 않는다고 해서 테마파크 사업 자체가 무산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부영이 사업부지의 98%(15만평중 5천평 제외한 전체 부지 소유)를 소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테마파크 사업을 하지 않으면 도시개발사업을 할 수 없다”며 “다음 달 말로 예정된 환경영향평가 조사를 마친 뒤 6월 결과보고서가 나오면 다시 실시계획인가를 받을 수 있기에 사업 자체가 무산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