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쌈짓돈처럼 유용 ‘천태만상’
전화료·주유비 3천400만원 사용
25일 전국 시·도교육청이 감사에서 적발된 사립유치원 실명을 공개하면서 인천에서도 각종 비리 실태가 드러났다.
원장의 외제차 리스비부터 단란주점 비용까지 유치원 회계에서 빼 쓰는 등 공금을 개인 쌈짓돈처럼 유용한 사례가 대다수였다.
이날 인천시교육청이 공개한 감사 결과에 따르면 A 유치원 원장은 2012년 벤츠 차량을 매달 107만8천원에 리스하면서 총 970만원을 유치원 회계에서 지출했다가 적발됐다.
B 유치원 원장도 2009년 9월 베라크루즈 차량을 사면서 할부금 680만원을 유치원 회계에서 지출했다가 적발됐다. C 유치원 역시 유치원 설립자의 국민연금이나 40만원이 넘는 단란주점 비용을 유치원 공금으로 냈다가 경고 처분을 받았다.
한 유치원은 원아의 통학차량 교통사고 위로금과 안전사고 합의금 등 1천322만원을 유치원 공금에서 빼 썼다가 회수 조치를 당했다.
원장이나 설립자의 개인 휴대전화 요금과 주유비를 유치원 회계에서 지출한 사례도 많았다. 금액도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에 달했다.
한 유치원 원장은 2013∼2016년 유치원 회계에서 개인 휴대전화 요금과 주유비 등으로 3천400만원을 집행했다. 또 다른 유치원 원장은 380차례에 걸쳐 간식이나 식재료비 등 1천690만원을 유치원 회계에서 썼다가 적발됐다.
이와 관련,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유치원 공공성 확보 방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병설 공립유치원의 경우 감사 결과를 공개하게 되면 해당 초등학교의 감사 내용도 함께 나온다”며 “이 때문에 공립유치원의 감사 결과를 어떻게 공개해야 할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