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육대 박물관(관장 김영안)은 개교 112주년을 맞아 선교사 하워드 리와 도널드 리 부자(父子) 유품 전시회 ‘세 가지 사랑의 흔적 : 교회사랑, 삼육사랑, 한국사랑’을 오는 23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연다.
하워드 리(Howard M. Lee, 한국명 이희만)는 미국 사우스 랭캐스터 아카데미 직원으로 근무하던 중 선교사로 부름을 받고 1910년 4월 조선 땅을 밟았다. 삼육대의 전신인 의명학교 총무를 역임하다 이듬해 초 제3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하워드 리는 20여년 간 의명학교 최고 책임자로 학교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 남녀공학, 기숙사제도, 실업교육을 우리나라 최초로 실시해 정착시켰고, 다양한 학교운영 체계를 마련하며 교육사업 발전에 공헌했다.
도널드 리(Donald Lee, 한국명 이단열)는 아버지 하워드 리의 선교 활동으로 인해 의명학교가 있던 평안남도 순안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40년 오리건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전란 직후인 1954년 한국 선교사로 부름을 받아 삼육신학원(삼육대 전신) 원장으로 취임했다.
이번 전시회는 도널드 리 선교사의 유족인 샌디 리(Sandy Lee Gibb)씨 등이 올해 초 삼육대 박물관에 유품을 기증하면서 마련됐다. 전시되는 유품은 총 130여 점으로 사진, 고서, 교육자료, 민속품, 손으로 그린 의명학교 배치도 등 당대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선보인다.
김영안 박물관장은 “부자 간인 두 분은 이 나라의 문화적 여명기에 오셔서 우리 민족과 함께 수난을 겪으며 복음의 빛을 밝혀 주시고, 삼육 교육의 기초를 놓는 데 힘쓰셨으며, 우리 민족 사랑을 보여주셨다”며 “개교 112주년을 맞아 의미 있는 전시회를 열수 있도록 유품을 기증해주신 가족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