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21세기에 공업사회를 벗어나 지식·정보중심의 사회가 되면서 탈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듯 보이지만 이 새로운 흐름에 우리는 경제성장, 취업, 출산, 초고령사회진입 등 기초생계와 심각한 관련이 있는 문제들의 난관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중요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정책적으로 집행되고 있는 것이 도시 또는 국가 재생 사업들이다. 특히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세계 선진 각국들이 문화산업을 그 해법으로 이미 성공적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어 눈여겨보게 된다.
사례들에서는 시민과 행정, 기업이 함께 힘을 합쳐서 꾸준히 노력했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시민들의 높은 문화의식, 행정 당국의 간섭 없는 팔걸이원칙 준수, 지원이 아닌 투자개념의 정책 집행으로 문화자본형성, 공생을 바탕으로 한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가 그 핵심이다.
21세기 탈산업화의 성공적인 도시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지역 특수의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비슷한 프로그램의 그들만의 행사는 세금만 축낼 뿐이다. 지역만의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은 그 지역의 시민들이 찾아내고 만들어 가는 것이 생명력 있는 것이며, 지속하기 위해서는 지역민들의 문화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정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바야흐로 4차 산업이 도래한 시대에 문화를 홍보 또는 마케팅에 활용하는데 머무는 수준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인문학적 품위와 지역의 경제적 안정을 담보하는 굴뚝 없는 산업, 문화 그 자체의 진정한 시대적 가치에 대한 성취요구가 우리를 두드리고 있다.
이득현 (재)수원그린트러스트 이사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