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광역버스 입석 금지 출근 대란… 지각사태 불보듯

순수 증차 95대 불과… 입석승객 수용 사실상 어려워
탄력적 버스운행 정책ㆍ업계 손실보전 방안 마련 시급

경기도와 서울ㆍ인천지역을 오가는 수도권 직행좌석형 시내버스(광역버스)의 입석운행이 16일부터 전면 금지된다.

하지만 도내 직행좌석버스 하루 출근길 승객 중 입석 탑승자가 1만명을 넘어서는데다 입석해소 차원에서 증차한 버스가 충분치 않아 정류장별로 탑승을 하지못해 지각이 속출하는 등 출근 대란이 우려된다.

15일 경기도와 국토교통부,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에 따르면 16일부터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를 운행하는 광역버스의 입석이 금지된다.

입석운행은 도로교통법상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관행적으로 이뤄져 왔지만, 세월호 참사 여파로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이 거세져 전면 금지되는 것이다. 입석운행 단속도 한 달여의 계도기간을 거친 뒤 다음 달 중순부터는 시행될 방침이다.

이같은 조치로 경기지역에서는 20개 업체가 운영하는 113개 노선, 1천391대의 광역버스의 입석운행이 제한된다.

해당 광역버스의 1일 이용객은 35만명에 달하며 전체의 4분의 1 이상인 9만8천명이 출근길 승객이다. 이들 출근길 승객의 12.6%인 1만2천400명이 입석 승객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입석해소 대책으로 45개 노선 158대의 버스 증차를 내놓았다. 하지만 이중 63대가 노선 통ㆍ폐선에 의한 대체투입 차량으로 순수 증차 버스는 95대에 그치고 증차 버스의 평균 운행횟수도 1.7회에 불과해 정류장 별로 수요가 다른 출근길 입석 승객을 모두 수용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정류장 별로 탑승객에 대한 모니터링이 모두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입석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일부 정류장에서는 출근길에 버스를 타지 못하는 불편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입석금지 조치에 따른 버스의 탄력적 운행 방침과 업계의 손실보전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광역버스업계의 경영난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광역버스 9개 노선, 140대를 운행하는 A고속은 이번 입석운행 금지 조치로 하루평균 대당 350명에 달했던 승객 수가 280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내다봤다.

버스 1대에 대한 1일 운송원가가 60만원으로, 현재 55만원 안팎을 충당하고 있는 가운데 입석 이용객을 태우지 못할 시 수익은 40만원 정도로 줄어들 것이라는게 A고속의 예상이다.

A고속 관계자는 “환승할인에 따른 손실, 공차운행 등에 따라 광역버스가 적자 운행 중인 상황에서 이번 입석금지 조치는 엎친 데 덮친 격”이라며 “승객안전이 보장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아무런 지원이나 방침도 없이 입석을 금지하는 것은 자칫 광역버스업계의 공멸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위험한 처사”라고 우려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