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하는 회원제 골프장] MB정부때 188억 가장 많이 사들여
‘신의 직장’으로 알려진 대한민국 공기업은 업무추진, 정책홍보 등을 위해 골프회원권을 구입했다.
이들 공기업은 이명박 정부 때 가장 많은 금액의 골프회원권을 사들였으며 사장과 부사장, 임원들이 정부부처, 은행권 등의 외부기관 인사들과 함께 골프를 쳤다.
공기업의 골프회원권 보유는 김영삼 행정부 이전(~1993년 2월)에 기술신용보증기금과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전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4곳에 불과했고 골프회원권 역시 14구좌(5억818만원)에 그쳤다.
이후 김영삼 정부(1993~1998년2월25일) 시절에는 코스콤, 한국전력기술(주) 2개 기관이 골프회원권 2구좌(2억8천만원)를 구입했고, 김대중 정부(1998~2003년2월24일)에 들어서면서 5구좌 13억5천675만원으로 증가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 골프회원권을 구입한 공기관은 한국자산관리공사와 한국산업단지공단, 코스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4개 기관이다.
이어 노무현 정부(2003~2008년 2월24일)에서 공기업들은 총 10구좌 79억2천872만원의 골프회원권을 사들였다.
골프붐이 일어나면서 골프회원권 가격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탔고 이전에는 골프회원권을 보유하지 않았던 신용보증기금과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조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그랜드코리아레저, 한국벤처투자, 한전KDN,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등도 골프회원권 보유에 동참했다.
이명박 정부(2008~2013년 2월24일) 때는 노무현 정부 때 보다 두배가 넘는 188억2천758만원을 골프회원권 구입에 사용했다. 이명박 정부 초기 정점을 찍었던 골프회원권 가격을 반영하더라도 상당한 금액을 골프회원권 구매에 들인 것이다.
당시 골프회원권을 사들인 공기업은 한국마사회와 한국표준협회,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등 10개 기관(20구좌)이다.
박근혜 정부(2013~) 들어서는 대한지적공사만이 6억1천200만원을 주고 골프회원권 3구좌를 구입했다.
한편 2013년 12월 말 현재 금융위원회 산하 공기업이 모두 156억7천400만원 상당의 골프회원권을 보유하고 있어 각 정부 부처 가운데 가장 많은 금액의 골프회원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49억8천600만원), 문화체육관광부(40억7천만원), 중소기업청(14억9천만원), 산업통상자원부(12억7천600만원)가 그 뒤를 이었다.
이명관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