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대학생 취업률 제고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추진 중인 ‘취업예약형 전공과정’이 80.5%의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취업예약형 전공과정’에는 5년 동안 190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그 중 153명이 취업에 성공해 80.5%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참여학생 60명 중 55명이 취업해 91.7%의 취업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경기도 대학발전협의회의 제안으로 시작된 ‘취업예약형 전공과정’은 1년 기간의 교육과정을 대학과 중소기업이 함께 구성하는 대신, 교육과정을 수료한 학생들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은 먼저 대학에서 6개월간의 이론 수업을 받은 후 나머지 6개월간 참여기업에서 현장실습 겸 의무 복무과정을 거치게 된다. 교육과정이 끝난 후 참여기업은 면접을 거쳐 학생들의 채용 여부를 결정한다.
도는 취업예약형 전공과정에 참여하는 학생에게 일정규모의 교육훈련비를 지급하며 학생들은 의무 복무 기간 동안에는 도와 기업에서 교육훈련비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기업이 원하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기업을 알릴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대학 입장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이는 사업이란 점에서 높은 호응도를 보이고 있다.
학생과 기업들이 높은 호응을 보냄에 따라 도 역시 지난해 1억 5천만 원에서 올해 6억으로 지원규모를 확대, 2개 대학, 60명 학생에게 1인당 월 10만 원씩 총 120만 원을 지원하던 교육비를 올해는 5개 대학(대진대, 오산대, 여주대, 동서울대, 수원과학대) 150명, 월 30만 원으로 확대지원했다.
도 관계자는 “취업예약형 전공과정은 경기도와 도내 대학, 기업이 함께 힘을 합쳐 청년 실업난 해소를 위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좋은 사례”라며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대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