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Q&A] 등교 거부 자녀, 충분히 시간 주세요

▲ 전정우사진

Q.학교를 아프다고 해서 몇 번 등교를 못하다가 요즘 들어서 학교 가기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그냥 학교를 가기 싫다고 하는데 정확한 이유도 모르겠습니다. 학교를 계속 보내야 하는지 그냥 지켜봐야 하는 건지 걱정입니다.

 

A.자녀가 학교 등교를 거부한다는 사실 자체가 부모로서 정말 당황스러운 일입니다. 부모님 세대에 학교는 당연하게 가야 하는 곳이고 당연히 졸업장을 받는 것이 학생의 의무였고 당연한 일이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부모님들은 자녀가 학교에 등교하기를 권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과정에서 자녀와의 많은 갈등이 시작됩니다.

 

우선 자녀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학교 등교를 못하는 자녀 또한 부모님 보다 더 많은 불안을 느끼고 있습니다. 다급하게 학교를 권하는 것은 자칫 자녀와의 갈등을 초래하여 소통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추후 자녀와의 대화가 단절 될 수 있습니다.

우선 부모님은 기다려주는 것이 가장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학교 밖 청소년들이 1년 이내 학교에 돌아가고 싶어 합니다. 아울러 어느 누구도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는 청소년은 없습니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학교 밖 청소년도 특별한 이유 없이는 검정고시 시험을 준비합니다.

 

자녀가 왜 학교 등교 거부를 하는지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즉, 자녀의 마음과 소통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님이 이 기다림에 조급해 합니다. 누군가는 원하는 학과를 가기 위해서 재수를 하기도 하고, 더 많은 경험을 위하여 휴학을 하고, 일을 하기도 합니다. 진도를 몇 권 나간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한 권이라도 제대로 자기 것으로 만들었는지가 더욱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남들과 똑같은 속도로 우리 자녀들은 성장하지 않습니다.

 

자녀가 무엇 때문에 고민하는지 충분한 시간을 주셔야 됩니다. 그리고 충분히 생각하고 결정 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교 등교가 무조건 정답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많은 학교 밖 교육을 통해서 성장한 기업가, 운동선수, 예술인 등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부모의 불안감으로 자녀가 스스로 만들어가는 길에 앞서 나가 지시하기보다, 자녀보다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지지자가 되어 주신다면, 세상을 무서워해 도망가기보다 용감하게 그 문제를 맞이할 수 있는 자녀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청소년상담센터 전정우 상담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