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논문 사기 사건 주동자 표현 부당"
박기영 자진 사퇴, 文 정부 들어 세 번째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끝내 11일 자진해서 사퇴했다. 지난 7일 임명이 발표된 지 나흘 만이다.
과학기술계와 정치권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아 온 박 본부장은 이날 저녁 출입기자들에게 이메일로 쓴 다섯 페이지짜리 ‘사퇴의 글’을 보내 사퇴의사를 밝혔다.
박 전 본부장은 “어려운 상황이 예상됨에도 저를 본부장으로 지명해주시고 대변인 브리핑으로 또다시 신뢰를 보여주신 대통령께 감사드린다”며 “11년 전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사건은 저에게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주홍글씨였다”고 말했다.
그는 황우석 사태에 관한 본인의 입장을 설명하면서 사과의 뜻을 다시 밝혔지만, 억울함도 호소했다.
그는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사건이 제 임기(청와대 정보과학기술비서관 재직) 중에 일어났다고 해서 황우석 논문 사기 사건의 주동자나 혹은 적극적 가담자로 표현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항변했다.
이어 “임기 중 일어난 사고에 대해 무한 책임을 지고 삶의 가치조차 영원히 빼앗기는 사람은 정부 관료 중 아마도 저에게 씌워지는 굴레가 가장 클 것으로 생각한다. 세상이 이렇게까지 가혹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며 “국민에게 큰 실망과 지속적인 논란을 안겨 드려 다시 한 번 정중하게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박기영 전 본부장의 자진 사퇴는 문재인 정부 들어 임명직 고위 인사 가운데 스스로 물러난 세 번째 사례가 됐다. 공직후보자까지 포함하면 안경환 전 법무부 장관 후보자, 조대엽 전 노동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세 번째다.
박 본부장은 7일 임명이 발표된 이후 최악의 연구부정행위 사건 중 하나인 ‘황우석 사태’에 깊이 연루된 인물이라는 점이 두드러지면서 사퇴 압력을 받아 왔다.
순천대 교수 출신인 그는 지난 2004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을 맡으면서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데 중심 역할을 했다.
또 보좌관 재직 당시 실제 연구 기여 없이 황 전 교수가 2004년 낸 사이언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린 점, 황 전 교수로부터 전공과 무관한 연구과제 2개를 위탁받으면서 정부지원금 2억 5천만 원을 받은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박 전 본부장 임명을 강행했던 청와대는 자진사퇴 의사를 존중하고 더 낮은 자세로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며 사퇴를 수용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