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전 살리기’ 발벗고 나선 경기도

염부 복지·환경개선 5억 투입
소금판매 활성화 방안도 추진

화성 공생염전과 안산 동주염전 등 경기도내 염전이 줄줄이 폐업(본보 7월16일자 1면)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5억 3천여만 원의 예산을 확보, 이들 염전을 살리기 위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등 구체적인 사업진행에 나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염부들의 근무 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해 염부 복지 및 환경 개선 사업에 먼저 예산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도는 4억 원을 투입해 염전 바닥재 개선사업을 추진키로 했으며, 소금보관창고 개ㆍ보수 비용 1억, 소금운반장비 설치(컨베이어벨트) 2천만 원, 지하관정 설치 비용 1천400만 원, 쉼터 조성비 500만 원 등 총 5억 3천9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는 소금 판매 활성화 방안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소금 판매 활성화를 위해 ▲관내 어업 양식장 소금 소비 유도 ▲도내 수협 3개소에 소금 1만 포 소비 매칭 계획 수립 ▲경기도 직원 대상 ‘경기도 소금’ 특판 ▲귀어귀촌 박람회 시 경기도 소금 전시 참여 및 홍보 등도 함께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도의 조치는 본보 보도를 통해 화성ㆍ안산 염전 15곳 중 절반가량인 7곳이 폐업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이재명 경기지사가 지난달 16일 도청 실ㆍ국 업무보고 자리에서 도내 염전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직접 지시한 이후 이뤄졌다. 이후 도 농정해양국은 지난달 17일부터 화성시 공생염전과 안산시 동주염전 등을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현장 실태조사 이후 염부들이 가장 바라는 부분인 환경 개선 및 복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 “내년부터 예산을 투입해 염전 근로환경 개선사업과 함께 소금판매 활성화를 위한 방안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명품소금으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전남 신안군 염전도 벤치마킹하는 등 도내 염전을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계속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도내 염전은 지난해까지 총 15곳으로 화성시 서신면 공생염전 14곳, 안산시 대부동동 동주염전 1곳이 명맥을 유지했다. 그러나 중국산 저가 소금 공세에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서 올해 들어 화성시 공생염전 7곳이 문을 닫았고, 안산시 대부동동에 남아있는 1곳도 소금생산보다는 염전 체험활동 현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경기도 소금’만의 특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수도권이라는 장점을 살려 ‘염전 체험장’으로 관광상품화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