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유치원, 입학설명회 취소·연기·폐원 협박에 “적반하장도 유분수… 돈벌이 수단 불과” 성토
당정·道교육청 종합대책도 “땜질식 처방” 비판
경기도내 공·사립유치원 117곳(공립 38ㆍ사립 79곳)의 실명이 25일 공개된 가운데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의 비리를 확인한 학부모들이 허탈해하며 사립유치원에 대한 비난과 성토를 쏟아냈다.
의정부에 사는 학부모 P씨(40)는 “오늘 새벽부터 계속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에 접속해 명단 공개를 기다렸는데 직접 눈으로 확인하니 비싼 돈주고 믿고 보낸 학부모 입장에서 억장이 무너진다”며 “그런데 사립유치원들은 입학설명회를 취소ㆍ연기하고 폐원하겠다고 오히려 아이들을 볼모로 학부모를 협박하고 있으니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말이 안 나온다”라고 하소연했다.
또 성남의 다른 학부모 L씨(43)는 “동탄 환희유치원 원장 뉴스를 보고 남의 동네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내 아이 보낸 유치원도 비리유치원이었다”며 “우리 아이는 그저 원장 가족의 돈벌이 수단에 불과했다는 생각에 화가 치민다”고 분노했다.
화성 동탄지역 학부모 모바일 커뮤니티 ‘동탄 유치원 문제 해결 촉구를 위한 모임’에는 “경기도 정말 썩었다“, “대책인 척 하면서 은근슬쩍 넘어가는 것 같다”, “결국 궁지에 몰리는 건 아이들과 부모다” 등의 불만이 하루 종일 이어졌고 각종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에서도 “상상 이상이다”, “아이들을 돈으로만 본 이름만 교육자들”이라는 성난 목소리와 쓴소리가 쉴 새 없이 이어졌다. 일부 학부모들은 말 많고 탈 많은 사립유치원 대신 놀이학교나 영어유치원을 알아보거나 아예 회사를 그만두고 집에서 아이를 키우겠다는 직장맘도 있었다.
게다가 당정과 도교육청이 25일 내놓은 ‘국공립유치원 40% 조기 달성’, ‘에듀파인 적용’ 등의 사립유치원 종합대책은 학부모들의 실망과 분노를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성난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땜질식 처방’이 아닌가 하는 목소리가 크다.
남양주시 사는 학부모 K씨(35)는 “교육부나 경기도교육청이나 오늘 발표한 대책이 그야말로 먼나라 이야기처럼 들렸다”고 지적하며 “당장 다음 달부터 아이 유치원 입학을 알아봐야 하는데 유치원 중 일부가 폐원 또는 신입 원아 모집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당장 내년도 유치원 입학대란이 우려되는데 구체적인 실행방안도 없고 특단의 대책도 전무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K씨는 “정부와 교육부만 믿을 수 없어 정말이지 촛불이라도 들고 싶은 심정”이라며 “이젠 분노로 그치지 않고 정말 우리 아이들이 안전한 유치원에서 건강한 밥 먹고,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교육부의 유치원 공공성 강화방안 발표 직후 입장자료를 내고 “너무 충격적인 정부 조치에 경악과 충격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유총은 “사립유치원이 바랐던 것은 유아 학비를 학부모에게 지원해 달라는 점과 사립유치원을 위한 재무회계규칙을 만들어 달라는 두 가지였다”며 “그것이 자유롭고 창의적인 유아교육뿐 아니라 개인사업자인 사립유치원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한유총은 그러나 “오늘 (발표된) 교육부의 유치원 공공성 강화방안은 사립유치원 땅과 건물을 본인의 사유재산으로 일구고 수십 년간 유아교육에 헌신한 설립자·원장들의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