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의원들 “이해 못해”… 市 “집단민원 잦아”
전국적으로 지자체장이 사용하던 관사를 시민공간으로 활용하고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고양시가 20년 전 사라진 시장 관사를 다시 만들기 위한 억대의 예산을 세워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고양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진행 중인 고양시의회 제230회 임시회에 1급 관사 임차보증금 4억6천만 원을 비롯해 인테리어 비용 2천200만 원, 물품구입비 2천300만 원 등 5억500만원의 예산 심의를 요청했다.
특히 해당 예산과 관련, 관사운영에 필요한 일반 경비 2천135만 원, 사무관리비 500만 원, 이사비용 200만 원, 부동산 중개수수료와 등기비용 250만 원, 관리 및 공공요금 585만 원 등 별도의 부대비용 3천670만 원 예산도 추가됐다.
이들 예산을 모두 합하면 총 5억4천만원이 넘는 규모다.
앞서 시는 지난 1984년 덕양구 주교동 588번지 대지 780여㎡에 지상1층으로 신축된 단독주택을 시장 관사로 사용했다.
그러다 황교선 전 시장이 취임하면서 2000년 7월 전통예절 등을 교육하는 ‘예절원’으로 활용했고, 2006년부터는 지하 1층~지상 3층 1천472㎡ 규모로 늘려 어린이집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자유한국당 소속 시의원들은 있던 관사를 시민의 공간으로 돌려주는 상황에서 다시 관사를 만들기 위해 막대한 혈세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며 제동을 걸었다.
예산결산위원회에 참여한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시민의 세금으로 관사를 얻겠다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일이냐”며 “시민들을 위한 예산에 집중해야 할 상황에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세금으로 충당하겠다는 계획 역시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예산 내역을 보면 서민들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과한 부분이 있다”며 “130㎡(40평)가 넘는 아파트가 관사로 필요할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장 집 앞에서 시위 등 집단민원 제기가 빈번하고 심지어 만취한 민원인이 찾아오는 등 가족과 주변 거주민들까지 피해가 있어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고양=송주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