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해결 무게추 경기도로 기운다…인천, 지자체 공모 추진 위해 경기도에 협력 구애

수도권 대체매립지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지자체 공모 방식이 떠오른(본보 4월18일자 1면) 가운데 경기도의 향후 움직임이 수도권 운명을 좌우할 ‘키’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매립지를 품은 인천시가 정부 주도의 공모를 촉구하면서 서울시ㆍ경기도와의 공동전선을 구애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와 달리 대체매립지 후보지가 포함돼 발언권이 강한 경기도가 협상 테이블에서 어떤 ‘카드’를 주고받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허종식 인천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은 18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 대체매립지는 환경부 등 중앙정부 주도로 조성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박남춘 인천시장이 제안한 공모 방식을 재차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는 전날 2천500억 원 상당의 특별지원금을 통한 지자체 공모 방식을 제시한 바 있다.

이어 허 부시장은 “그간 서울시 정무부시장,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수차례 만나 환경부 주도로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부에 공동 촉구하기로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허 부시장의 발언을 일부만 동의했다. 지자체 공모 방식이라는 큰 방향에 실무적으로 합의했지만 공동 대응 등 행동력으로 옮기기에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국 경기도와 완전히 입을 맞추지 않고 기자회견을 진행한 인천시의 조급함이 수도권 대체매립지 문제에서 경기도의 중요도를 증명한 셈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인천시와는 실무 라인에서 지자체 공모 방식에 대한 큰 틀의 합의만 있었다”며 “매립지 조성에 따른 경기도민의 막대한 피해도 예상되는 만큼 이재명 도지사의 방침 등 세부적인 의견 교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2025년 포화가 예측된 수도권매립지(인천 서구 소재)는 신규 조성을 위해 연구 용역을 진행, 최근 후보지 10곳가량을 도출한 바 있다. 10곳에는 서울을 제외하고 경기와 인천 지자체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