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고 환경적인 지방하천 만든다’ 경기도, 지역실정 맞는 ‘종합정비계획’ 수립

▲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지역 실정에 맞는 ‘지방하천 종합정비계획’ 수립에 나선다. 그간 국토교통부의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된 ‘지방하천 정비사업’이 내년부터 광역 지자체로 이관된 데 따른 것이다.

도는 내년 2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지방하천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한다고 21일 밝혔다. 종합정비계획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지방하천 정비사업의 마스터플랜이다. 이에 도는 국토교통부가 수립한 기존 정비계획과 비교해 변화된 하천 주변 여건을 조사해 반영하고, 시ㆍ군 의견을 모아 사업투자 우선순위를 정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 7월 발표된 환경부 홍수량 산정결과를 근거로 범람이 자주 일어난 하천을 우선 투자,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하천을 만드는 기초로 삼을 방침이다. 아울러 시ㆍ군 지방하천 정비사업 대행 기준과 총사업비 관리 방안, 하천사업에 반영할 친수 시설의 범위 등의 내용을 담은 ‘지방하천 정비사업 집행지침’도 함께 제정하게 된다. 도는 관련 전문가는 물론 각 시ㆍ군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최종적으로 수자원관리위원회 자문까지 거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종합정비계획 수립으로 수해에 취약한 하천을 우선 정비하고, 집행지침을 통해 사업비가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것”이라며 “홍수에 안전하고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하천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