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비정규직 노조, 비정규직 사망 관련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요구

11월 30일 한국지엠(GM) 부평공장에서 과로 등으로 숨진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근로자 A씨(47)의 유족들이 3일 유품을 수습하기 위해 공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조주현기자
11월 30일 한국지엠(GM) 부평공장에서 과로 등으로 숨진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근로자 A씨(47)의 유족들이 3일 유품을 수습하기 위해 공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조주현기자

한국지엠(GM) 부평공장에서 일하던 40대 비정규직 근로자가 사망한 가운데 비정규직 노조가 한국GM이 주도하는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 부평비정규직지회는 3일 인천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

노조는 “실질적인 책임자인 한국GM은 유족에게 조의를 표하고 책임 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죽음의 가장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원인인 불법 파견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정규직화 방안을 강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GM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근로자 A씨(47)는 지난 11월 30일 오전 8시께 인천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 도장부 사무실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비정규직 지회는 A씨가 순환 무급휴직을 하면서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3일 정의당 인천시당도 논평을 내고 “열악한 현장에서 장시간 노동과 고용불안에 시달리며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죽어나가는 것이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했다.

이어 “비정규직 노동자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지금이라도 해고 통지 철회와 정규직 전환을 촉구한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