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우한 폐렴’ 대책본부 가동…메르스 이후 1년 4개월만

행정안전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을 위해 대책지원본부를 가동했다.

해외 신종 감염병과 관련해 행안부 차원의 대책지원본부가 구성된 것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했던 2018년 9월 이후 1년 4개월여만이다.

28일 행안부는 전날 우한 폐렴 관련 감염병 위기경보가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됨에 따라 대응 단계를 대책지원본부로 상향 조정했다.

대책지원본부는 재난협력실장을 본부장으로 사회재난대응정책관, 보건재난대응과장 등 모두 9명으로 구성되며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협조 요청사항을 파악하고 방역추진현황 등을 살펴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 행안부는 재난협력실장 주재로 관계부처와 지자체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비상 상황점검 회의를 열어 우한에서 귀국하는 교민의 격리 생활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위해 정부합동지원단을 꾸리기로 했다. 아울러 지자체별 대응 상황과 조치계획을 점검하고 필요 시 역학조사관 등 인력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행안부는 우한 폐렴 진행 상황에 따라 대응 수위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특정 지역에서 번지거나 전국으로 확산하면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범정부 대책지원본부’나 범정부 재난대응 최고 기구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가동될 수 있다.

해외 신종 감염병과 관련해 행안부의 대책지원본부가 구성된 것은 지난 2018년 메르스 사태 이후 1년4개월 만이다. 감염병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가동된 것은 2009년 11월 신종인플루엔자가 확산했던 시기가 유일하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