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 필요

장애인일자리 관련 민원을 분석한 결과, 일자리의 양적 확대 외에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인프라 확충, 장애인근로자 근무환경 개선 등 취업준비 단계부터 취업 후 근로환경까지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혁신적 포용국가 사회정책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2017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2년10개월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장애인일자리 관련 민원 945건을 분석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민원 유형을 살펴보면 ‘일자리 확대와 취업 알선 요청’ 민원(44.8%)이 가장 많았고, 이어 국가지원 사업인 ‘장애인일자리 사업’과 관련해 발생한 민원(26.2%),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 관련 내용(15.6%), ‘장애인 근로자의 근무환경 개선’ 관련 내용(13.4%) 순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확대 및 취업 알선 관련 민원은 장애인의 구직 어려움에 따른 장애인 일자리 다양화와 확대를 요구하는 내용이 307건(72.5%)으로 가장 많았다.

장애인일자리 사업과 관련해서는 사업에 참여를 희망한다는 내용이 103건(41.5%)으로 가장 많았고, 참여기간이 끝난 후 정규직으로 전환을 요청하거나, 정규직 선발 시 경력으로 인정해 달라는 요구가 52건(21.0%)로 뒤를 이었다.

장애인 직업훈련과 관련된 민원은 ‘직업훈련시설 기준 완화와 장애특성을 고려한 시설기준의 마련’, ‘훈련과 일자리 연계 강화 등 장애인 직업훈련의 확대와 개선 요구’가 54건(37.0%)로 가장 높았다.

권석원 권익개선정책국장은 “장애인 일자리 확대도 중요하지만 장애인 직업훈련 종사자나 교사의 자질을 향상하고, 장애인 채용 시 차별을 배제하는 등 장애인과 함께 일하는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이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