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날 경기 202명·인천 47명 후보 등록
깜깜이 선거… 투표율 역대 최저 우려
위성·중소정당 난립, 유권자 혼란 가중
제21대 국회의원선거 후보 등록이 26·27일 양일간 이뤄지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총선 무관심과 낮은 투표율 우려, 여야 각 당의 공천후유증, 비례대표 선거 등이 최대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는 여야 모두 섣불리 유·불리를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이번 총선의 최대 예측불허 변수다. 후보들은 제대로 대면 선거운동을 하지 못하고, 유권자들은 누가 나왔는지조차 모르는 상태가 선거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투표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할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국민들의 불편과 실물경제 악화가 문재인 정부 비판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마스크 5부제를 하는 ‘마스크 대란’에 대해 야당은 “마스크도 제대로 못 챙기는 문재인 정권”이라고 공세를 펴고 있다.
그렇다고 코로나19 사태가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에게 유리한 것은 결코 아니다. ‘정권 심판론’이 부각되지 못하고, 코로나19 사태가 세계적인 상황이며, 정부가 이를 극복하고 경제적 후유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여당이 안정 의석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천 후유증 또한 여야 모두 고민거리다. 원내 제1당을 차지하기 위해 한 석이 아쉬운 상황에서 공천에서 탈락한 후보들이 무소속 등으로 출마, 상대 후보에게 어부지리를 안겨주는 것은 거대 정당인 민주당과 통합당 입장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에 따라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공천에서 탈락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경우 영구제명”, 통합당 황교안 대표도 “무소속 출마로 소탐대실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지만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 지는 미지수다.
특히 통합당의 경우, 후보등록 하루 전인 지난 25일 심야까지 최고위원회와 공천관리위원회 간 갈등으로 엎치락뒤치락하며 3곳의 후보자들의 공천이 번복돼 비난을 자초했다.
비례대표 47석 중 30석에 연동형이 적용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이번 총선에 처음으로 도입되면서 비례대표 선거가 역대 총선에 비해 더욱 중요해진 점도 변수다.
비례대표 득표율 3%만 넘으면 의석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정당들이 크게 늘어났으며, 국민의당 등 비례대표만 도전하는 정당이 나오고, 심지어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연합정당인 더불어시민당,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자매정당인 미래한국당이 만들어져 유권자들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통합당의 미래한국당 창당을 강력 비난했음에도 소수 정당들과 연합해 더불어시민당을 만들어 정의당으로부터 강력한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은 물론 열린민주당이 만들어져 비례대표 후보를 내세우면서 궁색한 입장에 처했다.
한편 첫날 후보등록(오후 9시 기준)에서 경기도 59곳 선거구에 202명, 인천시 13곳 선거구에 47명이 각각 등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도내 민주당과 통합당이 각각 52곳과 49곳에서 후보등록을 마쳤고, 정의당, 우리공화당, 민중당, 국가혁명배당금당, 기독자유통일당, 기본소득당, 무소속 후보 등이 속속 후보등록에 나서 치열한 혈전을 예고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