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당선자 인터뷰] 인천 남동을 윤관석 (민주당)

▲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남동을 당선인(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3선의 힘, 준비된 국토교통위원장’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남동을 당선자는 민주당의 대표적인 정책통이자 교통 전문가다. 윤 당선자는 이번 선거에서도 이 같은 무기를 내세워 유권자를 공략했다. ‘인천의 교통 혁명’을 제1공약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조기 착공과 제2경인선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인천도시철도2호선 KTX 직결 등을 내세운 윤 당선인의 전략은 그대로 들어맞았다.

이번 선거로 3선에 성공, 중진 의원이 된 윤 당선자를 만나 당선 소감과 앞으로의 의정활동 계획을 들어봤다.

-이번 선거에서 3선 고지에 올랐다. 남동을에선 3선이 처음인데, 성공 요인이나 소감은?

▲ ‘3’이라는 숫자가 너무 무겁다. 이번에 많은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신 남동을 지역 주민, 유권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이번 선거는 코로나19 선거였다.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는 대비책을 세우는데 중앙당에서 했던 역할과 인천시당위원장이라는 역할을 유권자께서 높게 평가해줬다고 생각한다. 특히 지역 교통혁명 공약 추진 중인데, 거기에 대해 전폭적인 성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또 슬로건이 ‘3선의 힘, 준비된 국토교통위원장’이다. 3선의 힘으로 열심히 지역 발전을 위해 뛰겠다고 했는데 인천의 교통혁명 잘 완수할 수 있도록 하겠다.

- 코로나19 탓에 선거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이나 힘든 일, 느낀 점이 있다면?

▲ 선거 준비 과정부터 코로나19에 대한 걱정이 많았다. 처음에는 선거 유세를 해야 하는데 코로나19로 모두 침체한 분위기 속에서 유세가 정말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을 했다. 일부 유권자는 ‘이런 판국에 선거하냐’며 꾸중을 하기도 했다. 어떤 방식을 통해서 선거운동을 펼칠지, 주민들이 코로나19를 대하는 태도와 선거운동의 강도를 맞추는 것 등이 어려웠던 것 같다. 하지만 점차 지나면서 유권자들이 선거를 받아들이는 것도 긍정적으로 변했다. 명함도 잘 받아주시고 차량에서 선거 유세를 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평가해주셨다. 물론 유세를 저강도로 해서 그런 듯하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주민들이 국회의원을 평가할 때 소통과 능력을 중시하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는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20대 국회, 일 못 했던 국회라고 평가받는데 그중에서 꾸준히 입법 활동을 하고 성과를 내는 국회의원에 대해서는 높은 지지를 보여준다. 또 지역 주민과 소통하는 국회의원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해준다. 앞으로도 꾸준히 지역주민과 소통하고 열심히 일해서 성과를 가져오려고 한다.

- 21대 국회에서는 국토교통위원장을 맡겠다는 뜻을 선거 슬로건을 통해 밝히기도 했는데, 앞으로 어떤 의정활동을 펼칠 예정인가?

▲ 20대 국회에서 국토교통위원회 여당 간사라는 경험이 있어서 앞으로 국토교통위원장을 맡았을 때 전문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남동구를 플러스할 수 있는 교통혁명 공약을 실현하겠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GTX-B 노선은 조속히 착공할 수 있도록 애쓰려 한다. 또 제2경인전철도 예타 조사를 통과시키고 조기 착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 선거운동을 하면서 주민들이 이야기하는 것 중 하나는 인천2호선 KTX 광명역 연장이다. 사업 자체가 매우 지지부진하다. 앞으로 용역을 통해 경제성을 보완하겠다.

2번째는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에 도전할 계획이다. 그동안 민주당에서 최고위원을 비롯해 수많은 당직을 맡아왔다. 특히 민주당에 ‘수석’자 붙은 자리가 4개 있다. 이중 원내수석부대표를 제외하면 다 맡아본 듯하다. 앞으로 상임위원회에서 지역 발전을 위해 주력하다가 이후에는 당 지도부에도 도전하는 것도 생각 중이다.

-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어떤 밑그림을 그리고 있나.

▲ 가장 중요한 것은 교통 문제다. 제2경인선 예타 조사가 진행 중이다. 1년 이내로 결과가 나올 것이다. 제2경인선 무조건 통과시키겠다. 2번째는 공교육 문제다. 최근 교육청과 교육혁신지구 업무협약을 맺은 것이 있다. 이 부분을 더 확대하고 내실화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의하겠다. 주거환경 개선 문제도 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 중인 곳도 있고 가로주택 정비사업 시범사업에 선정된 곳도 있다. 성공적인 도시재생 모델을 지역에서 낙후된 곳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