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 집' 후원금 논란… 경기도-광주시 책임 떠넘기기 급급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나눔의 집’의 후원금 운용 문제를 놓고 관리ㆍ감독 책임에 대한 경기도와 광주시의 책임 떠넘기기 ‘핑퐁 게임’이 이어지고 있다.

25일 경기도와 광주시에 따르면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24일 성명을 통해 “나눔의 집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른 데에는 감독기관의 소홀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현 사태는 사회복지법인과 시설에 대한 경기도와 광주시의 오랜 방치와 외면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경기도와 광주시는 나눔의 집 직원들의 내부 고발에 따라 법인(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과 요양시설(나눔의 집)에 대해 지난달과 이달 각각 특별지도점검을 벌였다. 그 결과 이들은 ‘법인과 시설이 후원금 전용계좌를 구분해 사용하지 않았다’고 공통으로 지적했다.

경기도의 경우 ‘나눔의 집 법인과 시설이 전용계좌를 구분하지 않은 채 19개의 후원금 통장을 사용하면서 73억5천만원을 관리하고 있으며, 다수인이 계좌 입금을 통해 후원한 3개 통장에서 19억6천억원을 법인 운영 계좌로 입금해 법인운영비 및 토지운영비 등에 사용했다’며 특별수사팀을 꾸려 후원금 부적정 사용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광주시도 ‘나눔의 집(시설)의 특수성으로 후원금이 상당하나 이에 대한 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법인과 시설의 이름이 같아 후원자들이 혼돈을 겪고 있다’며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이런 상황에서 두 기관은 후원금 운용에 대한 관리ㆍ감독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두고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ㆍ회계 규칙’에 따라 사회복지법인은 후원금 수입 및 사용 결과보고서 제출을 광주시에 해야 하고 광주시는 이를 공개해야 한다”며 “당연히 후원금 관리ㆍ감독 권한도 광주시에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시는 후원금 수입 및 사용 결과를 제출받고 공개하는 업무만 하고 있으며 후원금이 어떻게 적립됐고 어디에 사용했는지에 대한 감독 권한은 경기도에 있다”며 “이에 따라 이번 특별점검에서도 경기도는 후원금 사용에 대해 광주시는 시설 보조금 사용에 대해 각각 치중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경기도와 광주시의 책임 회피가 계속되자 시민사회단체는 애초 관리ㆍ감독 사각지대에 놓인 배경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후원금이 적정하게 지출 및 운영되고 있는지 명백히 밝히는 한편, 경기도와 광주시의 관리ㆍ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배경도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상훈ㆍ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