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변형이 생기는 대표적인 족부 질환이다. 몇 가지 유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볼이 좁은 신발이나 하이힐을 신을 경우 발병율이 높아진다. 사람들의 얼굴 생김새가 모두 다르듯이 모든 사람의 발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걷는 자세도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런 각양각색의 모양을 가진 발을 똑같은 모양의 신발에 억지로 끼워 넣으니 발 통증이 심해진다. 일반적인 운동화는 신으면 신을수록 발의 모양에 따라 변형되지만 딱딱한 새 신발 혹은 하이힐이나 단화는 발의 모양에 맞춰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발이 모양이 변형되기 시작하면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이 두드러지는데 좀 더 큰 엄지발가락의 변형이 도드라져 보이고 문제가 잘 생겨서 무지외반증이 발병한다. 따라서 구두와 하이힐을 선호하는 여성에게서 주로 무지외반증이 관찰됐지만 최근에는 젊은 남성들도 볼이 좁은 구두나 키 높이 신발을 즐겨 신어 무지외반증이 증가하는 추세다.
둥그렇게 변형된 신발보다는 날씬하고 유려한 신발이 예쁘기 때문에 발이 호소하는 통증에도 사람들은 예쁜 신발을 신는 것을 그만두지 않는다. 발의 통증이 점점 심해져서 일상생활에 제한이 오면, 그때야 사람들은 병원을 찾게 된다. 병원에서 이제 환자가 되어 치료를 받게 되면 두 가지 치료 방법에 대해 듣게 된다. ‘보조기와 수술.’ 그렇다면 보조기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차이는 무엇일까?
보조기는 발가락 실리콘, 깔창, 중족골 패드 등이 있다. 하지만 보조기는 무지외반증의 호전을 위한 기능은 없고, 단지 무지외반증으로 생기는 합병증을 막아주는 도구일 뿐이다. 발가락이 겹쳐서 생기는 물집이나 굳은살, 엄지발가락이 심하게 변형되어 둘째나 셋째, 넷째 발가락이 아프게 되는 중족골통, 발의 모양 변화로 신발에 발이 잘 맞지 않게 되어 생기는 족부 통증 등 다양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을 완화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걸어 다닐 수 있게 만드는 보존적 치료이다.
수술적 치료는 중족골간 각이 10도 이상으로 변형되었을 경우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수술 후에는 발 모양이 작아지고 단단해져 골 유합이 일어난 뒤에는 디디기가 편해진다. 수술이 보조기 보다 근본적인 치료로 보이지만, 수술을 하면 발에 상처가 남게 되고 뼈가 단단해지는 6주 동안 엄지발가락을 쓸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술 후 하이힐이나 볼이 좁은 신발을 신게 되면 재발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발의 모양에 따라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전문적인 발의 상태 확인으로 수술 후에 이러한 문제 발생의 여부를 알아볼 수 있다.
그러면 무지외반증이 생겼을 때 보조기를 사용한 보존적 치료를 하느냐, 또는 수술을 하느냐는 갈림길에서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할까? 일상적으로 걸어 다니거나 가볍게 뛸 때 발바닥이 아프지 않고, 발이 아프더라도 발가락 사이가 아프거나 운동화를 신었을 때 통증이 별로 없다면 보조기를 사용한 보존적 치료로 지낼 수 있다. 반면 운동화를 신고 다녀도 발이 아파서 걷기 어려울 정도라면 전문의와 상담 후 발 모양 변형에 따라 수술적 치료에 대해 고려해 보거나 깔창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
박승범 이춘택병원 제8정형외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