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재에 살해 당한 화성 초등생 아버지 “31년 전 사라진 내 딸, 못해준 것만 생각나”

연쇄살인사건 피의자 이춘재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밝혀진 초등학생의 아버지 김용복씨(69)가 7일 오전 화성의 A 근린공원에서 치마와 책가방 등 딸의 유류품이 발견된 장소에 헌화하며 딸의 넋을 달래고 있다. 조주현기자
연쇄살인사건 피의자 이춘재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밝혀진 초등학생의 아버지 김용복씨(69)가 7일 오전 화성의 A 근린공원에서 치마와 책가방 등 딸의 유류품이 발견된 장소에 헌화하며 딸의 넋을 달래고 있다. 조주현기자

“사랑하는 내 딸아, 부디 좋은 곳에서 잘 지내길 바란다.”

1989년 7월7일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향하던 K양(당시 8세)이 사라졌다. 이 사건은 끝내 시신이 발견되지 않아 실종사건으로 분류, ‘화성 초등생 실종사건’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이춘재의 자백과 더불어 당시 수사를 맡았던 경찰이 유골 등을 은폐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 사건 역시 이춘재가 저지른 살인 사건으로 밝혀졌다.

7일 오전 11시10분께 화성의 A 근린공원 내에서 31년 전 이날 딸을 잃은 아버지 김용복씨(69)와 그의 아들은 K양의 넋을 기리는 위령제를 지냈다. 이곳은 K양이 실종 당시 입고 있던 치마와 책가방 등의 유류품이 발견됐던 장소다.

구부정한 모습의 늙은 아버지는 기억 속 어린 딸의 흔적이 발견된 자리에 하얀 국화를 내려놨다. 잠시 눈을 감고 묵념한 그는 금방이라도 울음을 터뜨릴 것만 같은 표정으로 벤치에 주저앉았다.

‘딸의 마지막 모습’을 묻는 질문에 김씨는 “어린 딸 아이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며 “좋았던 기억은 잊혀지고 못해준 것만 자꾸 떠올라 가슴이 미어진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민방위 훈련에 따라나서겠다는 딸을 혼냈던 기억이 난다”며 “미워서 혼낸 건 아니지만, 그 사실 자체가 마음 아프다”며 고개를 떨어뜨렸다.

잠시 숨을 고르던 김씨는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내 딸이 살았는지 죽었는지조차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 너무나 원통하다”며 “범행을 저지른 이춘재보다 사실을 알고도 은폐한 경찰이 더 나쁘다”며 당시 수사를 맡았던 경찰들을 원망했다.

이춘재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한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최근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당시 형사계장 등 경찰 2명이 K양의 유골 일부를 발견하고도 은닉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날 위령제에는 유가족 외에도 경기남부청 나원오 형사과장과 이정현 장기미제수사팀장, 피해자보호계 소속 직원 등이 참석해 고인의 넋을 기렸다.

헌화를 마친 유가족 측 법률대리인 이정도 변호사는 “가해자는 버젓이 살아서 남은 생을 누리고 피해자는 시신조차 찾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경찰이 당시 수사관들에게 사체은닉 및 증거인멸 혐의를 적용했으나, 공소시효가 만료돼 상당히 아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직무수행 가능성이 있을 때까진 과오를 수정하고 되돌릴 수 있다고 본 판례가 있다. 당시 수사관들의 직무유기는 퇴임 때까지 이어진 셈”이라며 “검찰이 이들에게 적용할 공소시효 범위에 대해 보다 유연한 판단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K양의 유가족은 경찰의 증거인멸 등으로 사건의 실체규명이 지연됐다며 국가를 상대로 지난 3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한편, 경찰은 지난해 11월 K양의 유골 등을 찾고자 A 근린공원 일대에 지표투과 레이더(GPR) 5대 등 장비와 함께 1천180명이 투입돼 9일간의 수색을 벌였으나, 의미 있는 내용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