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천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추진

재개발·재건축 관련 물량 확보 중점

인천시가 청년,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형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안 마련에 나선다. 인천형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안에는 건설·매입·전세임대 확대, 공공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공임대주택 물량 확보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신동명 원도심재생조정관은 4일 “인천형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안을 마련 중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곧 발표하라고 지시했다”고 했다. 이는 박남춘 시장이 앞서 지난 7월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당초 약속드렸던 2만호에서 4만호까지 확대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것의 후속 조치다.

인천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안으로는 현재 추진 중인 건설·매입·전세임대를 확대하는 방안과 공공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공임대주택 물량 확보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인천의 건설·매입·전세임대 등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순항 중이다. 2018년부터 2020년 2분기까지 인천에서 공급한 공공임대주택 가구수는 총 1만9천74가구다. 이는 2018~2022년 시의 공공임대주택 공급 목표 물량인 2만3천965가구의 75.6%다.

특히 2020년 1·2분기에는 각각 3천533가구, 2천608가구를 공급했다. 2020년 목표 공급량인 3천555가구를 이미 넘은 셈이다.

그러나 인천의 공공임대주택이 수도권 다른 시·도에 비해 적다. 국토교통부의 시·도별 임대사업자 및 임대호수 현황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인천의 공공임대주택(건설·매입·전세임대) 가구수는 7만7천372가구다. 이는 서울과 경기도의 공공임대주택 28만4천257가구, 42만7천715가구에 비해 부족한 수치다. 인천과 비슷한 규모인 부산의 공공임대주택도 7만9천335가구로 인천보다 공급 물량이 많다.

공공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공임대주택 물량 확보는 이날 중앙정부의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안과 관련이 있다. 중앙정부는 공공참여형 고밀재건축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이들 사업은 모두 용적률 확대를 통해 공공임대 물량을 확대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시 관계자는 “앞서 주택공급 확대 태스크포스 회의에서 정부에 영구임대주택 적극 건설을 위해 주택도시기금 등의 추가 지원을 요청했다”며 “오늘 나온 정책도 충실히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