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의료진 16~20%, 14일 대한의협 집단휴진 참여, 의료공백 우려

대한의사협회가 14일 전국 의료계의 총파업으로 집단휴진을 예고하면서 인천지역의 의료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인천시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지역 의원급 의료기관 1천578곳 중 16~20% 정도가 집단휴진을 신고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번 총파업에는 대학병원에서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와 동네의원을 운영하는 개원의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가천대길병원, 인하대병원 등 인천지역 대학병원들은 대부분 대체인력 등을 투입해 큰 의료공백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동네의원의 참여율이 높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민 불편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구 주민 A씨(26)는 “코로나19로 규모가 큰 병원과 보건소가 환자들로 북적이는데, 동네병원이 당장 파업한다면 피해는 우리 몫”이라며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볼모로 파업을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또다른 주민 B씨(49)는 “의사가 힘들어하는 부분은 이해하지만 파업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기득권자인 의사가 자신의 이익을 놓고 싶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볼모로 파업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의사들 사이에서도 부적절한 방식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 남동구에서 항문외과를 운영하고 있는 A원장은 “코로나19로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시기에 휴진을 하고 단체로 모이는 파업에 참여하는 것은 의료진으로서 적절치않다”며 “의료진의 주장을 관철할 수 있는 방법이 꼭 파업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인천시는 집단휴진에 대비해 비상진료체계를 구축하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각 군·구 보건소에 비상대책상황실 설치, 비상진료체계 24시간 운영, 진료기관 안내 등이다. 또 휴진하는 의료기관이 30% 이상이면, 진료공백이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전체 의원급 의료기관에 진료개시 명령을 발령하기로 했다.

박남춘 시장은 “인천지역의 휴진신고 의료기관은 진료공백을 우려할 수준이 아니므로 휴진 의료기관 대상 업무개시 명령은 발령하지 않았다”며 “의료계는 진료 공백으로 시민의 건강이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한편, 지난 1일 대한의사협회는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와 비대면 진료 육성 등을 ‘4대악 의료정책’으로 규정하고 정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을 원안대로 추진하겠다고 하자, 의협은 예정대로 집단 휴진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강우진·김보람·이수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