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과 집중호우로 인천지역 곳곳에서 노후·돌출간판이 떨어져 시민의 보행안전을 위협하고 있지만, 간판개선사업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17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6월1일부터 이날까지 간판 관련 신고로 소방당국이 출동한 건수는 23건이다.
특히 최근 이어진 집중호우와 태풍 ‘장미’ 당시 노후·돌출 간판의 위험은 두드러졌다. 지난 9일에는 남동구 구월동 한 상가건물의 간판이 강풍에 떨어져 나갔다. 지난 2일에도 집중호우로 옹진군 영흥도의 한 식당 간판이 기울어 소방대원들이 안전조치에 나섰다. 당시 태풍이 인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음에도 집중호우와 강풍에 위험이 속출한 셈이다.
앞서 시는 2010년부터 시민 안전과 도시 미관 등을 이유로 노후간판을 신형간판으로 교체하고 돌출간판을 축소하거나 없애는 등의 간판개선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10년이 흐르도록 사업은 제자리걸음 중이다. 현재 간판개선사업을 하는 기초단체는 연수구, 서구, 미추홀구, 남동구 등 4개지역에 불과하고 사업규모도 상가 또는 마을단위로 한정하고 있다.
상가 1곳(13개 업체)의 간판개선사업에 8천600만원의 비용이 드는데, 사업범위를 인천 전체로 확대할 경우 사업비용이 수천배에 달해 예산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다.
또 간판개선사업은 1업소 1간판, 돌출간판 소형화 등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상인들의 선호도가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간판 수가 줄어들고 크기가 작아지면 점포가 소비자의 이목을 끌지 못해 매출하락으로 이어진다는 불안 때문이다.
전문가는 시민안전을 위해 사업예산확보와 상인과의 합의점 도출이 우선과제라고 말한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간판개선사업은) 미관뿐 아니라 시민의 안전을 위해 조속히 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사업”이라며 “소통을 통해 상인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 대대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노후·돌출간판에 대한 예방정비사업으로 태풍에 대비하겠다”면서도 “비용부담이 커 간판개선사업을 확대하기는 쉽지 않다”고 했다.
강우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