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위중ㆍ중증환자가 폭증하고, 사망자도 크게 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2일 현재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사망했거나 사후 확진된 사람은 20명이다. 연령별로 보면 80대가 9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70대 7명, 90대 3명, 60대 1명 등 모두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확인됐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감염병에 취약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사망자 20명의 감염 경로를 살펴보면 감염 과정이 명확하지 않은 ‘조사 중 사례’가 9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확진자만 1천명 넘게 나온 서울 사랑제일교회 관련자가 4명이다. 사망 이후 코로나로 뒤늦게 확인되는 ‘사후 확진’도 잇따라 방역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일 0시 기준 267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7일 441명을 최고점으로 300명대를 거쳐 점차 200명대로 안정화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안심할 상황은 전혀 아니다. 확진자 하향 추세와는 관계없이 위중ㆍ중증환자가 급증해 병상 부족 문제 등이 심각하다. 위중·중증환자는 하루 새 20명이나 늘었다. 2일 기준 위중·중증 환자는 모두 124명이다. 연령별로는 70대가 52명(38.1%)으로 가장 많고 이어 80세 이상 29명(29.8%), 60대 24명(19%), 50대 12명(9.5%), 40대 7명(3.6%) 등의 순이다.
위중·중증환자 대부분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서울 52명, 경기 33명, 인천 6명 등 수도권이 91명이다. 수도권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수도권에서 확보된 중환자 치료 병상 중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병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의 경우 2일 오후 5시 기준 중환자 치료 병상 25개를 모두 사용 중이다. 가용 병상이 바닥난 것이다.
정부는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원’을 지정해 코로나 중증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을 더 늘릴 계획이다. 지정된 병원에는 코로나 치료로 인해 빚어진 영업 손실에 대한 보상과 함께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인력난도 심각하다. 정부는 국방부와 협력해 중증환자 치료를 담당할 군의관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4일부터 수도권 민간 의료시설 9곳에 1차로 20여명이 파견된다.
방역당국은 중증환자가 더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당연히 사망자도 증가할 것이다. 중증환자용 병상이 모자라 치료도 못받고 사망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중증환자 치료는 병상, 장비, 인력 등 3박자가 갖춰져야 한다. 지금 심각한 것은 병상과 인력이다. 병상은 이달 말까지 110개를 추가 확보할 방침이라는데 인력은 군의관 50여명 파견으로 어렵다. 전공의들이 집단 파업을 끝내고 하루 빨리 의료현장으로 돌아오도록 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