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ㆍ중ㆍ고등학생 100명 중 1명 이상이 극단적인 선택을 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관심군’ 분류 학생은 지난 2015년과 비교해 무려 3배 이상 증가해 관내 전문가 및 기관 등과 연계한 상담과 도움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제기된다.
3일 국회 교육위원회 이탄희 의원(더불어민주당ㆍ용인정)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학생정서ㆍ행동 특성검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초ㆍ중ㆍ고등학생 중 4.9%가 정서와 행동 발달상 문제가 있어 상담이 필요한 ‘관심군’으로 분류됐다.
이 가운데 자살 위험이 있다고 분석된 학생 비율은 1.4%였다. 자살 위험 학생의 비중은 2015년 0.5%에서 3배 가까이 늘어났다.
관심군 학생 수는 2018년 8만7천333명으로 나타나 2015년과 비교해 143%가 증가하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자살 위험 학생 수도 2015년 8천613명, 2016년 9천624명, 2017년 1만8천732명, 2018년 2만3천324명으로 두드러지는 증가세를 보였다,.
정서행동특성검사는 학생들의 정서적인 특성을 검사하는 것으로 지난 2012년부터 초등학교 1ㆍ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이 매년 4월에 실시하게 돼 있다. 1차 검사 결과 고위험군 학생으로 나타나면 2차 연계로 초등학생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중ㆍ고등학생은 Wee센터에서 2차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급하게 치료가 필요한 학생은 병원으로 연계하고 있다.
이 의원은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라며 “학교와 지역사회 전문가·기관과 연계·협력해 충분한 상담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