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형 뉴딜 종합계획’ 최종안 공개

인천시가 오는 2025년까지 총 사업비 14조원을 투입해 양질의 일자리 17만3천개를 만드는 ‘인천형 뉴딜’의 종합계획을 완성했다.

8일 시에 따르면 ‘경제·사회구조 대전환을 통한 더욱 살기 좋은 인천’을 비전으로 하는 인천형 뉴딜 종합계획 최종안을 마련했다. 인천형 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바이오 뉴딜, 휴먼 뉴딜 등 4개 분야에 14조원을 투입해 양질의 일자리 17만3천개를 만드는 게 핵심이다.

시는 ‘디지털 뉴딜’에 첨단 디지털 산업 육성과 제조업·기업·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시민체감 스마트도시 구축, 지능형 지방정부 혁신 등 4개의 추진 전략을 담았다. 또 ‘그린 뉴딜’엔 기후위기 대응 모범도시 구축과 자원순환·대기·물 관리 혁신, 청청 해양도시 구축, 녹색산업 선도도시로 성장 등의 내용을 포함했다.

‘바이오 뉴딜’엔 바이오 앵커기업 제조 역량 확충 지원을 비롯해 I-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기반 조성, 글로벌 바이오 생산허브 기능 강화,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 등의 계획을 마련했다. ‘휴먼 뉴딜’엔 복지기준선의 사업을 반영한 사회안전망 구축, 계층별·수요별 사람투자 확대 등을 비롯해 전 시민의 디지털 역량 강화, 중소기업·소상공인·청년의 고용안정 지원 등의 내용을 담았다.

시는 앞서 지난달 13일 박남춘 인천시장이 발표한 초안에 시민·전문가·시민단체 등이 낸 다양한 의견을 검토해 탈석탄 동맹 가입 등 56건의 사업을 추가로 계획에 반영했다.

또 지난달 29일 ‘나온 인천 복지기준선’의 사업을 휴먼 뉴딜에 적극 반영, 포스트 코로나와 경제·복지 정책과의 연계도 강화했다. 종전 일자리 창출 규모에서 공공형 일자리를 빼고 좋은 일자리 사다리 계획을 반영, 휴먼 뉴딜의 총 사업비는 초안보다 2조2천억원을 늘어났다.

시는 다음달 인천형 뉴딜 정책에 대한 민간전문가와의 거버넌스 협력체로 일자리위원회에 ‘뉴딜 특별자문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자문단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인천형 뉴딜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인천형 뉴딜은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한 지역 경제의 어려움 극복, 인천의 도시환경 개선 등 현안문제 해결 및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종합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시민의 기대와 염원에 부응해 반드시 성공적인 뉴딜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