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예술은 지속돼야 한다] 9. 마중

다큐 기억교실 스틸컷

“코로나19 상황에서 예술대학 학생들이 할 수 있고 원하는 것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난11일 오후 1시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위치한 서울예술대학교. 비대면 강의가 진행되는 탓에 학교 분위기는 한산했지만, 이곳 3층 ‘마중’의 회의실은 벽면 한쪽을 빼곡히 채운 기획처럼 청년 예술가들의 열정이 가득했다.

문화예술을 통해 공익활동을 실현하는 ‘마중’은 서울예대 학생자치기구로 다양한 봉사활동과 예술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다큐_기억교실 스틸컷1
다큐 기억교실 스틸컷

코로나19가 발발한 지난해 그동안 이어왔던 사회봉사 활동이 어려워지자 다른 방법을 찾아 나섰다. 기존의 봉사활동에서 벗어나 예술대학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찾아 나선 것. 마중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동아리연합회와 교육방송국 SABS 등 학생 자치기구와 함께 안산지역의 특수한 공간을 찾아 다양한 콘셉트의 공연과 예술활동으로 시민들을 만났다.

▲ 다큐_스마트허브 스틸컷
다큐 스마트허브 스틸컷

지난 한해 마중을 이끈 이동규 전 단장은 “코로나19로 많은 사람에게 공유되던 공간이 남겨졌다”며 “안산지역에서 기억해야 할 공간을 선정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예술활동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2020 공간기억 프로젝트_Turn On The Place>에서 ▲잊혀진 기억의 섬, 선감도 ▲단원고 4.16 기억교실 ▲스마트허브(구 반월공단) 등 총 3곳을 선정했다. 이들은 각각 선감학원 피해자들을 위로하는 봉산탈춤, 단원고 학생 개개인의 삶을 기억하는 마임 퍼포먼스, 반월공단에 얽힌 희로애락에 집중한 창작가요 등을 공연했다. 이들의 공연은 올해 다큐멘터리를 통해 기록돼 선보일 예정이다.

▲ 다큐_선감도 스틸컷
다큐 기억교실 스틸컷

마중은 올해 또 한 번의 공간기억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리가 기억해야 하지만 잊히고 있는 파주의 장파리, 연천의 배기리를 찾아 아카이빙 아트 전시를 선보이고 다큐멘터리를 제작할 계획이다. 또 안산도시계획에 맞춰 안산지역의 주민들과 예술로 소통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 다큐_선감도 스틸컷1
다큐 기억교실 스틸컷

이동규 전 단장은 코로나19 상황이지만 방향을 조금만 바꿔 예술대학 학생으로서 할 수 있고 하고 싶은 활동을 찾아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전 단장은 “예술 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 청년 예술가들이 부딪치는 장벽이 높지만 많은 지원과 하고 싶다는 열정으로 프로젝트를 이어나갈 수 있었다”며 “비대면 시대로 유튜브가 활발하지만 유튜브 등에 안주하지 않고 마중만의 색을 찾아 예술 활동을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 다큐_선감도 스틸컷2
다큐 선감도 스틸컷

김은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