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공공의료체계 확립’ 정·관·민·학 한목소리

인천지역의 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인천의료원과 적십자병원의 기능을 높이고 새로운 공공의료기관을 확충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4일 인천시의료원, 대한적십자사 등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인천 인구 10만명 당 종합병원의 병상 수는 188.3개로 전국 평균(218.2)에 비해 한참 못 미친다. 또 인천지역 전체 의료기관(194곳) 중 공공의료기관은 8곳(4.1%)으로 전국 평균(9.7%)과 비교해 턱없이 부족하다. 이렇다 보니 인구 1천명당 공공의료기관 병상수는 0.45곳에 불과하며 의사 수도 1천명당 0.4명으로 7대 특·광역시 중 6위에 그친다.

이 때문에 정계와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는 인천시의료원과 인천적십자병원의 기능을 강화하고 의료인력을 확충하는 등 지역의 공공의료 수준을 끌어올려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날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동·미추홀을)과 박찬대 의원(연수갑)이 공동 주최한 ‘대한민국의 관문 인천지역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도 이 같은 의견이 나왔다.

임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자체충족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진료권별 공공보건의료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적십자병원을 인수해 제2인천의료원으로 전환하는 등 남부 진료권에 300~500병상 규모의 공공의료기관을 만들고 서북·동북지역 공공의료기관도 단계적으로 확충해야한다”고 했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인천지역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인천의료원을 감염병전문병원으로 지정하고 제2인천의료원을 건립해 인천의료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시민단체 대표로 참여한 한성희 건강과 나눔 상임이사도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제2인천의료원 설립 숙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한다. 한 이사는 “더이상 공공의료를 방치하지 말고 지역완결적 공공의료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했다.

이훈재 인천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은 “민간대학병원의 공공성에 의존하는 인천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국립대학병원을 유치하고 공공의료기의 기능재정립을 해야한다”고 했다. 이어 “인천지역 공공의료분야에 종사할 의료인력 확충방안과 공공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도 함께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시는 지난 2월 권역별 감염병전문병원 유치전에서 경북권에 기회를 내주고 재도전 중이다. 적십자병원은 2010년 개원 초기부터 200억원이 넘는 누적적자와 차입금 등으로 재정난을 겪고 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