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자체를 비롯한 전국적인 관심을 모은 이른바 ‘이건희 미술관’ 건립지가 서울로 결정 났다. 이에 지역 문화콘텐츠 강화를 위해 유치전에 나섰던 경기도 지자체들은 허탈감과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문화체육관광부 황희 장관은 7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이건희 컬렉션을 별도로 전시할 가칭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관(이건희 기증관)’ 건립 최종 후보지로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와 국립현대미술관 인근 송현동 두 곳으로 발표됐다. 황희 장관은 “기증품 2만3천 여점의 활용 효과를 높이려면 집중 관리·전시가 최선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후보지들이 연관 분야와의 활발한 교류와 협력, 상승효과를 기대할만한 충분한 입지 여건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이에 그동안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던 경기도내 지자체들은 일제히 아쉬움을 드러냈다.
도내에서는 지난 5월 수원시를 시작으로 용인ㆍ오산ㆍ평택ㆍ의정부ㆍ과천시 등 6개 지자체와 경기도가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문체부 등에 건의했다.
수원시는 삼성家 묘역, 수원화성 시너지 효과 등으로 유치 기대감이 컸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수원시는 故 이건희 회장의 ‘글로벌 혁신 경영’이 싹을 틔운 곳이자 고인의 유택을 모신 도시로서 그 유지를 가장 빛나게 받들 수 있는 ‘미술관 설립·운영 비전’을 마련해 문체부에 전달했었다”며 “수원시민의 기대도 컸기에 아쉬움도 더 크다”고 밝혔다.
역시 삼성과의 인연을 내세운 용인시도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용인시는 故 이병철 회장의 소장품이 있는 호암미술관과 함께 대를 이어 수집한 삼성 컬렉션의 원스톱 관람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을 부각해왔다.
경기도와 의정부시는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을 내세우며 미군 반환 공여지에 건립을, 평택시는 삼성 반도체공장이 위치한 국제도시의 면모를, 과천시는 입지적 강점과 문화예술 시설의 집약성을 내세우며 유치전에 뛰어들었었다.
김종천 과천시장은 “이건희 기증관 후보지 선정 기본 원칙에는 ‘국민의 문화향유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기증의 취지 존중과 기증의 가치 확산’이 있었는데, 이번 후보지 선정은 지방을 배제한 서울시민을 위해 후보지를 선정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비난했다.
한편 문체부는 지역 소외감을 고려해 기증관 건립과 별도로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별 특화된 문화시설에 대한 지원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내년 하반기부터 연 3회 이상 지역별 대표 박물관·미술관 순회 전시를 차례로 진행하는 등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지역에까지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