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비리’ 소환 앞둔 은수미, 또 다른 복심 前 비서실장 거취 주목

은수미 성남시장. 경기일보DB
은수미 성남시장. 경기일보DB

성남시를 둘러싼 대규모 채용비리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은수미 성남시장의 소환이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의혹을 비켜가고 있는 또 다른 핵심 인물의 거취가 주목된다.

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각종 비리 의혹이 터져나오는 성남시엔 당초 은 시장의 최측근으로 꼽힌 3명이 있다. 채용비리 의혹에 연루돼 최근 구속 기소된 전 인사과장과 미혼 여성 공무원 리스트를 만든 전 행정과장, 전 비서실장 A씨다. 경찰 수사가 시작된 뒤로도 거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있는 건 A씨가 유일하다.

앞서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은 시장의 비서관으로 일하다 사직한 L씨가 지난 2020년 11월 국민권익위원회에 제기했던 공익신고를 바탕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당시 L씨는 은 시장의 캠프 출신들이 시와 그 산하기관에 대거 부정 채용됐다며 공무원 등 39명을 신고했다.

경찰은 지난해 성남시청과 조사 대상자를 상대로 압수수색을 실시하며 은 시장 포함 38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했다. 은 시장 측은 혐의를 부인해왔지만, 경기일보 취재를 통해 일부 피의자가 혐의를 인정(경기일보 2021년 8월19일자 6면)한 것으로 드러났고, 경찰은 최근 캠프 핵심 관계자와 전 인사과장을 검찰에 구속 송치했다.

사건을 넘겨받은 수원지검 성남지청은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두 사람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첫 공판은 오는 17일 열릴 예정이다. 법조계에선 1년에 걸친 수사 끝에 송치부터 기소까지 빠르게 전개되는 점을 주목하며 본격적으로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가장 주목되는 건 A씨의 거취다. A씨는 수사가 시작된 직후인 지난해 1월 돌연 도서관사업소장으로 발령났는데, 이를 두고 증거 인멸의 우려가 제기됐다. 부정 채용에 연루된 인물이 사건이 발생한 서현도서관을 관할하는 직책으로 인사 조치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 1일 A씨는 수정구청장으로 영전했다.

경기일보는 A씨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연결되지 않았다.

경찰 관계자는 “관련자의 소환 여부나 시점은 수사 결과를 종합해서 판단할 것”이라며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