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해수부와 지역밀착형 탄소중립 오션뉴딜 추진

인천 스마트 해양관리 시스템 체계도. 인천시 제공
인천 스마트 해양관리 시스템 체계도. 인천시 제공

인천 앞바다의 해양쓰레기를 위성·드론을 이용해 찾아 수거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관리 등을 추진한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와 옹진군은 해양수산부와 이날 ‘지역밀착형 탄소중립 오션뉴딜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오션뉴딜 사업은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연안 지역의 탄소중립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해수부의 신규사업이다. 사업비의 70%가 국비로 지원한다.

시·군·해수부는 오는 2025년까지 70억원을 들여 ‘스마트 해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양쓰레기 수거·관리체계를 본격 개선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위성, 드론, 소나를 활용해 옹진군 일대 해양쓰레기를 탐지하고, AI를 활용해 해양쓰레기의 분포와 이동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 시는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최적의 수거계획을 수립하고 해양환경 정화선의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수거한 해양쓰레기의 85%를 차지하는 플라스틱의 재처리 공정 설계를 지원해 재활용을 확대하는 한편, 수거체계를 효율화해 연안과 바다의 탄소흡수력을 높일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3월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특별시 추진단’을 신설, 해양쓰레기 저감 종합계획을 마련한데 이어 해양쓰레기 처리 및 관리 조례와 반려해변 제도 등을 도입한 상태다.

시는 올해 해안가 환경 감시 인력인 ‘바다환경지킴이’를 36명으로 늘리고 해양정화선(씨클린호)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수거와 보건환경연구원의 해양오염도 조사를 지원한다. 75억원을 들여 해양정화운반선도 새로 건조한다.

박영길 해양항공국장은 “해양쓰레기 발생 예방부터, 수거·처리 기반조성, 관리기반 강화 등 전반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