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손 못 덜어주는… 학교 급식 ‘대체인력풀제’

학교 급식실. 연합뉴스

학교 급식종사자들이 코로나19 확진 등으로 인력 공백을 호소(경기일보 3월11일자 11면)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인력풀제가 사실상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도내 교육지원청은 일선 학교들의 채용 부담을 덜기 위해 대체인력풀제를 운영하고 있다. 여성지원센터 등과의 연계를 통해 교육지원청의 대체인력풀 시스템에 인력이 등재되면, 급식종사자 확진 등 인력 공백이 생길 시 인력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날 경기일보 취재진이 도교육청에서 입수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0년부터 올해 3월까지 2년여간 조리사·조리실무사·영양사의 누적 등재인원은 586명에 그쳤다. 특히 올해 초부터 오미크론 변이 등으로 인해 코로나19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급증했지만, 지난 1~3월 말까지 도내 등재인원은 단 109명에 머물러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더욱이 조리사 등재인원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양사 370명(63.1%), 조리실무사 206명(35.1%), 조리사 10명(1.8%)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중 성남·고양·포천 등 16개 지원청에선 조리사 등재가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장에서 근무하는 급식종사자들은 스스로 대체인력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녹록지 않아 현장에 남은 인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감당하기 벅찬 양의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조리실무사 홍주연씨(55·가명)는 “주변 동료들에게 물어봐도 인력 공백이 생겼을 때 대체인력풀을 통해 인력을 구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조차 없다”고 꼬집었다.

최진선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장은 “대체인력풀제가 제대로 운영된다면 성범죄 경력 조회 등 신속한 채용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들을 미리 해결할 수 있다"며 “교육 당국은 무용지물로 전락한 이 제도를 적극적으로 손질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 차원에서도 대체인력 확보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지만, 애초에 일할 사람 자체가 적어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양한 기관들과 연계를 더욱 확대해 대체인력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민훈·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