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옹진군이 첨단 기술을 활용해 섬지역의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한다.
31일 군에 따르면 사업비 70억원을 들여 이달부터 오는 2025년 말까지 인공지능(AI)과 드론 등을 활용한 스마트 해양환경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군은 최근 중국산 쓰레기 및 한강하구 쓰레기 등의 해양쓰레기가 인천 전역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예측 불가했던 해양쓰레기의 위치 파악으로 효율적인 수거·처리를 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마련했다.
군은 먼저 송도국제도시의 인천 갯벌타워에 ‘스마트 해양환경 관제센터’를 구축하고 해양쓰레기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빅데이터 예측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군은 해양쓰레기의 발생량, 종류, 위치, 발생시기, 이동경로, 환경 영향 등을 모니터링한다. 또 드론을 활용해 섬지역의 해양쓰레기 발생지 및 현재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드론 파견 대상 섬지역은 영흥도, 자월도, 덕적도, 굴업도, 북도, 대이작도 등이다.
특히 군은 관계기관과 협업, 인공위성을 통해 해상 부유 쓰레기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수중 음파탐지기를 통해 수중침적물을 찾는 등 해양쓰레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군은 이 같이 얻은 정보를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영상정보로 만들어 인천시 등과 공유할 방침이다.
군은 이 같은 시스템에서 얻은 정보들을 종합해 해양쓰레기 발생 시기에 맞춰 해양환경정화선 운행, 소각시설 운영 등 수거 및 처리 과정을 최적화할 계획이다. 또 해양쓰레기가 가장 많이 생기는 섬 지역을 찾아 플라스틱 재활용 시설도 구축·운영한다.
이를 통해 군은 비효율적이던 해양쓰레기의 수거·운반·처리 등에 드는 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해양쓰레기로 인한 선박사고·조업방해 등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만큼 훨씬 많은 해양쓰레기를 처리해 깨끗한 해양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해양쓰레기 처리는 지역의 숙원 사업인 만큼 사업이 계획대로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