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치솟는 시멘트 값에 레미콘업계 ‘셧다운’ 위기

10일부터 파업 예고… 일부 건설현장 준공 차질 불가피
가격 추가 인상 가능성 커… 일각 “정부 대처 시급” 지적

시멘트 가격 인상으로 레미콘 업계가 무기한 파업을 예고하면서 인천지역 일부 건설현장들이 멈춰설 위기에 처했다. 당장 준공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 있는 인천지역 공공주택은 1만5천372가구 규모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레미콘 업계는 오는 10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10일이 휴일인 것을 감안하면 11일부터는 건설현장에 레미콘 공급이 끊긴다. 이는 시멘트사들이 시멘트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국내 최대 시멘트 생산기업 쌍용C&E는 11월 출하분부터 시멘트 가격을 15.4% 인상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9월 삼표시멘트가 11.7%, 한일시멘트 15%, 성신양회 13.5%, 한라시멘트 14.5%의 가격 인상을 한 상태여서 사실상 대부분 시멘트사들이 가격을 올린 셈이다.

시멘트 가격이 오르는 것은 시멘트 업체들의 제조원가가 상승해 제품 공급가격을 조정해야 해서다. 한 시멘트사 관계자는 “원가 상승으로 영업이익 손실이 컸던 상황”이라며 “지난 7월부터 유연탄 가격이 폭등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시멘트사들의 이같은 가격 인상에 레미콘 업계는 파업 카드를 꺼내들었다. 레미콘 제조 과정에서 원가 부담이 대폭 늘어난 탓이다. 앞서 가격을 올린 시멘트사들이 이달 중순부터 가격이 오른 계산서를 수요업체에 발송할 계획이어서 양측의 갈등은 더 심화할 전망이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2달이 성수기인데 조업을 중단하는 게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며 “레미콘 업계와 레미콘을 공급할 건설사와 단가 재협상 등을 할 수 있도록 인상시점을 어느정도 늦춰줘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 때문에 당장 인천지역에 건설 중인 공공주택 현장들은 레미콘 수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아파트 현장과는 달리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현장에선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중소 레미콘사 제품을 의무적으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LH가 추진하는 인천지역 공공주택 현장은 총 40곳에 달한다. 자칫 레미콘 파업이 장기화하면 입주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사현장은 16곳, 1만5천372가구 규모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조달청 등에서 레미콘 공급 단가를 올려주는 등 빠른 결정을 통해 파업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지역 바닷모래 채취 기간 만료에 따른 재허가 과정에서 골재 채취도 차질을 빚고 있어 시멘트 가격이 또 오를 가능성도 크다.

LH 인천지역본부 관계자는 “앞서 지난 7월 레미콘 파업 때 준공일정이 촉박한 현장을 선별해 사급자재를 공급하는 등 불편을 겪었다”며 “레미콘 수급이 불안정하면 현장에 원활한 공급이 어려워 공공주택 입주일정이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달청 등에서 단가 조정 등을 통해 파업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 현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