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 그룹으로부터 법인카드를 받아 사용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김성태 전 쌍방울 그룹 회장의 검찰 진술을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이 전 부지사는 6일 자신의 변호인을 통해 공개한 ‘최근 언론보도에 대한 이화영의 입장’ 서신에서 “한마디로 최근 김성태와 쌍방울의 대북송금과 관련해 이화영과 (더불어민주당)이재명 대표님, 경기도에 대한 모든 보도는 허위사실이다. 가짜뉴스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거듭 밝히지만 저와 이 대표님, 경기도는 김성태와 쌍방울의 대북 송금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며 “(대북송금을)알지 못했을 뿐 아니라 경기도를 위해 쌍방울이 북한에 금전을 제공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검찰은 법정에서 이 같은 기삿거리를 제공한 바가 없다고 강하게 부정했는데, 그렇다면 일부 언론의 확정적 보도는 무엇을 근거로 했나”라며 “가짜뉴스를 퍼뜨린 언론에 대해 강력한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자신이 검찰의 소환에 응하지 않고 있다거나 김 전 회장에게 ‘문재인 정부 하에서는 (대북송금이)국정원에 걸려도 괜찮다’는 등의 발언을 했다는 언론보도를 언급하며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변호인이 출석 요구 당일 재판일정으로 출석하지 못해 출석 일자를 변경해달라고 했고, 변호인 출석이 가능한 날 검찰에 출석할 것이라는 서면 의견까지 제출했다”며 “그럼에도 이화영이 검찰 출석에 응하지 않고 버티는 것처럼 허위보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부지사는 어느 언론으로부터도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질의를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전 부지사는 “1주일에 2회씩 재판을 받고 있고, 1회 재판에 4명의 증인 신문을 하는 등 변호인이 과중한 업무로 사임할 정도로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며 자신이 불리한 여건에 처했다고 전제했다. 이어 “방어권을 제대로 보장한다면 충분히 사건의 진실을 밝힐 수 있다”며 “진실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와 거짓프레임에 진실이 희생당하는 사태를 막아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김 전 회장은 검찰 조사에서 2019년 1월(200만 달러)과 4월(300만달러) 11월(300만 달러) 등 3차례에 걸쳐 800만 달러를 북측에 전달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1월과 4월에 건넨 500만 달러는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지원사업 비용으로, 11월에 건넨 300만 달러는 당시 도지사였던 이 대표의 방북을 위한 비용이라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