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일부 무장애 공원 장애인 편의시설 '미흡'
사회 사회일반

일부 무장애 공원 장애인 편의시설 '미흡'

이미지투데이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무장애 공원 안전실태를 점검, 일부 공원 내 장애인 편의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조사는 전국 무장애 공원 18곳 중 2층 이상이 있는 16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무장애 공원은 몸이 불편한 사람도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해 놓은 공원이다.

 

무장애 공원 18곳 중 11곳에 설치된 계단, 13곳의 경사로에 마련된 손잡이에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표지판이 부착되지 않았거나 훼손된 상태였다. 이 중 8곳은 계단의 시작과 끝 지점 점형블록이 설치되지 않았다.

 

이밖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장애인 전용 표시가 손상돼 있거나, 바탕이 채색되지 않아 식별이 어려운 곳도 6곳 있었다.

 

공원 내 화장실 시설·관리도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18곳의 무장애 공원 가운데 장애인용 화장실에 성별 구분용 점자표지판을 부착하지 않은 공원이 4곳이었다. 또 화장실 전면에 점형블록을 설치하지 않거나 냉온수 구분 점자 표시가 없는 공원이 각각 3곳, 10곳으로 파악됐다.

 

또 4곳은 화장실 내 점자표지판과 비상용 벨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사용하기 어렵게 돼 있었다. 이외에도 청소도구 또는 쓰레기가 쌓인 공원이 4곳, 잠금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공원도 1곳 있었다.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에게는 동선과 편의시설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됨에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촉지 안내판이 설치되지 않은 공원은 4곳, 관리가 미흡한 공원이 8곳이었다. 

 

10곳에서 편의시설 안내용 리플릿이 제공되지 않았으며 15곳의 경우, 누리집 내 무장애 정보가 없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 부처와 공유, 정책 개선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무장애 공원 관리주체 기관에 편의시설 개선과 정보 제공 확대를 권고할 예정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무장애 공원 상당수가 편의시설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