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지역 곳곳의 근대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할 방안을 찾는다.
26일 시에 따르면 지난 1883년부터 최근까지 보존‧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인 근대문화유산에 대해 체계적, 종합적인 조사‧연구‧관리를 추진한다. 시는 최근 1억원을 들여 이 같은 내용의 ‘인천형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 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현재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체계의 한계점을 찾고, 앞으로의 근대문화유산제도 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이 과정에서 시는 서울 등 타 시·도는 물론 해외의 근대문화유산 체계와 제도 등도 검토한다.
시는 인천형 근대문화유산의 개념 정립과 기본원칙 등도 세운다. 이를 통해 인천형 근대문화유산의 관리방향, 보존, 재현 및 기록화의 기준 및 방법 등을 정한다. 그리고 인천형 근대문화유산의 유형화 방안에 대한 계획도 짠다.
특히 시는 현재 인천지역에 있는 2천194개에 대한 역사문화자원을 검토해 인천형 근대문화유산 후보를 선정한다. 이중 시급성 등을 감안해 우선 관리 대상을 선정하고, 나머지는 개별 관리·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시는 인천형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방안도 검토한다. 유형별 보존 가이드라인과 보존대상 근대문화유산의 지원기준 및 지원절차 등도 살펴본다.
이 밖에 시는 이들 근대문화유산의 관광자원화 및 제물포 르네상스 지원 등 활용 방안 마련에도 나선다. 문화재 및 타 관광 상품 등과 연계한 활용 방안을 주로 검토한다. 또 문화재청 추진사업과의 연계 방안과 시민 소통형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방안도 찾을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형 근대문화유산을 정비하기 위해 조례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으로 문화유산위원회 구성 및 민·관 협력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